뉘앙스·레퍼토리 한계 우려
리사이틀이나 협연 때 독주자가 악보를 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오페라에서 악보를 들고 노래하는 것도 상상할 수가 없다. 처음으로 악보 없이 연주(암보·暗譜)한 이는 여성이었다. 그러나 "잘난 척하는 여자"라는 비난만 들어야 했다.
그만큼 새로운 시도를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았다. 아니면 여성이었기 때문에 괜한 낙인을 찍었는지도 모를 일이기는 하다.
첫 암보 연주자 타이틀은 19세기 위대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였던 프란츠 리스트(1811~1886)가 차지했다. 1841년 하반기부터 이듬해 초반까지 베를린에서 50여 곡을 외워서 연주했다.
잘난 척한다는 소리를 들으며, 첫 암보 연주자로 이름을 올리지 못한 여성은 슈만의 아내 클라라 슈만(1819~1896)이었다.
클라라는 1837년 베를린에서 베토벤의 '열정 소나타'를 암보로 연주했다. 지금 같으면 남녀차별이라고 온 여성계가 들고 일어났을 터이다.
지휘자들도 악보 없이 무대에 서기 시작했다. 한스 폰 뷜로(1830~1894)는 1872년부터 진행된 미국 순회공연에서 139회의 공연을 하면서 단 한 번도 악보를 보지 않았다.
1865년 뮌헨에서는 4시간에 달하는 바그너의 음악극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초연할 때도 악보를 치워버렸다.
암보 연주는 점차 진지한 음악 행위로 여겨졌다. 그러나 악보에 적힌 악상 기호와 뉘앙스를 제대로 살리지 못한다는 우려도 있었다. 실제로 레퍼토리가 좁아지는 현상도 나타났다.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 블라디미르 호로비츠(1903~1989)는 나이가 든 뒤로 집에서는 방대한 레퍼토리를 악보를 보면서 연주했지만, 공개 연주회에선 악보를 외운 몇 안 되는 레퍼토리만을 고집했다.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테르(1915~1997)는 1970년대 후반부터 암보 연주를 포기했다. 청력과 음감이 떨어져 가끔 조를 옮겨 연주하는 실수를 범했기 때문이다. 그는 악보를 보면서 새로운 레퍼토리를 개발하는 게 낫다고 충고했다.
지휘자 에르네스트 앙세르메(1883~1969)는 "악보 없이 지휘하다 보면 작곡가의 의도에서 벗어나기 쉽고 지휘를 한낱 구경거리로 전락시킬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영준 인천본사 문화체육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