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권진흥·공유마켓 등 4개사업
한류·스토리 바탕 콘텐츠 개발
경기도가 '경기도형 전통시장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 본격적인 지원에 나선다.
도는 450억원 가량을 들여 '상권진흥구역', '우수시장', '혁신시장', '공유마켓' 등 4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2022년까지 64곳의 전통시장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먼저 총 240억원이 투입되는 상권진흥구역(총 6곳)에 선정되면 상권 활성화에 필요한 예산(1곳 당 4년간 최대 4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도를 대표할 문화·콘텐츠를 갖춘 우수시장(총 8곳)은 1곳 당 8억5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들 시장은 전통문화를 강조한 '한류문화형' 시장과 스토리를 바탕으로 지역과 공존하는 '상생협력형' 시장으로 분류돼 콘텐츠 개발, 시설개선(BI, 경관조명, 바닥공사), 마케팅 등을 지원받는다.
이와 함께 도는 시장 1곳당 5억원을 투자해 특화상품, 서비스, 관광자원 등 전통시장 특화요소를 발굴·개발하고 서비스혁신 등 자생력을 제고한다.
박승삼 소상공인과장은 "도는 광역적 차원의 도시계획 및 시·군 내 지역 균형발전 등을 고려하고 꼼꼼한 평가를 통해 사업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라며 "특히 임대료 상생협약·협의체 구성 등 최근 젠트리피케이션(상권내몰림 현상) 방지 대책을 적극 시행해 임차상인의 권리를 보호하겠다"고 밝혔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
경기도 전통시장 살리기… 4년간 64곳 특성화
입력 2019-03-18 21:18
수정 2019-03-18 21:1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3-19 1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