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32001001654700079951
이성철 정치2부(서울) 차장
지난달 27일부터 28일 이틀에 걸쳐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지도 벌써 한 달이 다 돼간다.

기대감이 컸던 만큼 회담 결렬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안타까움이 더없이 컸던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도 북미 간 물밑 접촉과 무엇보다 양측의 지속적인 대화 의지가 보여지는 만큼 정확한 시기를 예상할 수는 없지만 국민들의 대다수는 향후 협상에 대한 여전히 낙관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직접 하노이 회담 현장을 다녀온 취재기자로서 이후 계속해서 북미 간, 그리고 한미 간 움직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짧은 소견이지만 하노이 '핵 담판' 결렬 이후 북미 관계도 그렇지만 한미 간 다소 거리감이 있는 것만큼은 확실해 보인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인권 문제까지 다시 거론하면서 대북 압박 강화에 나서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는 '남북경협' 추진으로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것을 근거로 삼을 수 있다.

그렇다고 심상치 않은 분위기로 몰아가기도 무리가 있다. 한미 실무자들 간 다양한 루트의 협상과 대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청와대 출입기자들이 이른바 '단톡방'에서 양국의 소통과 협의 상황에 대한 많은 질문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로부터 나오는 대답은 "양국 간 대화채널에 전혀 문제가 없고 지속적인 소통이 이뤄지고 있다"는 원론적 입장의 답변이 돌아올 뿐이다.

국가 외교 문제가 '칼로 무 썰듯' 단언할 수 없다는 것은 이해하면서도 청와대의 다소 소극적인 해명과 설명으로는 국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켜주지 못하는 만큼 아쉽기만 하다.

산적한 국내 주요 현안뿐만 아니라 남북 관계에 대한 전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할 말만 하는 정부'보다는 '국민이 어떻게 듣고 있을지'를 염두해 청와대는 적극적인 소통에 나서주길 바란다.

/이성철 정치2부(서울) 차장 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