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 국기계양대의 새마을1
31일 인천시청 정문에 설치된 국기게양대에 새마을기가 태극기, 시기, 민방위기와 함께 걸려 있다. /김용국기자 yong@kyeongin.com

시·군·구, 국기·시기와 함께 걸어
부산·광주시등 폐지 움직임 불구
市 "고민 해본적 없어… 향후 검토"

1970년대 새마을운동 정신을 홍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새마을기(旗)가 40년 넘도록 인천시청을 비롯한 주요 관공서에 게양돼 있어 시대착오적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 공무원들은 새마을기가 시청에 걸린 이유도 모르고 있다.

태극기, 시기(市旗)가 걸린 시청 게양대에 단지 관행이라는 이유로 규정도 없이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인천시청 정문에 설치된 국기게양대에는 5개의 깃대가 설치돼 있는데 이 중 가운데 깃대에는 태극기가 게양돼 있고, 태극기 좌우로 시기가 2개, 양쪽 맨끝으로 새마을기와 민방위기가 1개씩 걸려 있다.

인천시 군·구청에도 태극기, 구·군기와 함께 새마을기가 게양돼 있다.

새마을운동중앙회에 따르면 새마을기는 1972년 내무부가 새마을 표어·농민복과 함께 디자인을 공모해 만들었다.

녹색 바탕은 농촌의 녹색혁명을 상징하고, 노란색 원 안의 새싹은 근면·자조·협동이라는 새마을정신을 뜻한다. 이런 새마을 정신은 지금도 해외 저개발 국가로 수출되고 있기는 하지만, 국제도시·첨단미래도시를 표방하는 인천과는 영 어울리지 않는다.

새마을기 게양은 1976년 총무처가 국기 다음의 2순위로 새마을기를 게양하는 규정을 만들면서 의무화됐다.

1989년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각급 공공기관에 새마을기를 게양해 공직자부터 새마을정신을 함양하고 이를 솔선 실천하라"는 지시사항을 내리기도 했다.

군사정권이 종식된 이후 구시대 유물이라는 비판이 이어져 1994년 대통령 소속 행정쇄신위원회가 각급 기관·단체의 장이 국민 정서와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게양 여부를 결정하도록 했다.

인천시는 대한민국국기법과 인천광역시기 조례에 따라 게양대를 운영하고 있지만, 새마을기는 관행적으로 걸고 있다는 이유 외에는 뚜렷한 근거와 이유를 대지는 못하고 있다.

새마을기 게양 폐지 주장은 부산과 광주 등 다른 지역에서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9월 부산에서는 공무원노조가 부산시청과 16개 군·구청의 새마을기 내리기 운동을 펼쳤다.

광주지역 시민단체는 앞서 2017년 1월 시청 게양대에 걸린 새마을기를 끌어내렸고, 광주시도 이를 받아들였다.

인천시 관계자는 "새마을기 게양에 대한 명문화된 규정은 없지만, 관행처럼 이어져 왔기 때문에 내려야 한다는 고민도 특별히 해본 적은 없었다"며 "시청 앞 담장을 허무는 열린 광장 조성 사업으로 게양대 위치를 조정할 때 새마을기를 어떻게 할지 검토해보겠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