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40801000766300036701

2013년 4월 18일 로이터 통신은 헤지펀드계의 거물 조지 소로스의 부고 기사를 타전했다. "약탈적 방법으로 막대한 성공을 거둔 자본가이자 투자가로, 역설적이게도 자신을 억만장자로 만들어 준 고삐 풀린 자본주의를 수년간 비판한 조지 소로스가 00세로 00일 숨졌다." 미리 작성해 둔 부고 기사가 실수로 출고된 오보였다. 알렉산드라 페트리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의 부고 기사 촌평이 의미심장했다. "스크루지 영감 처럼 자신을 돌아 볼 좋은 기회다. 기사에서 묘사한 사람으로 남고 싶지 않다면 아직 새 삶을 살 기회가 남아있다."

지금 89세의 소로스가 새 삶을 살고 있는지, 로이터가 부고 기사를 대폭 수정할 수 있을지 지켜 볼 일이나, 알프레드 노벨은 부고 기사 오보로 사후가 완전히 달라졌다. 생전 자신의 부고 기사에 충격을 받아 노벨상을 제정한 것이다. '죽음의 상인이 사망했다'는 제목 아래 "알프레드는 많은 사람을 빨리 죽이는 방법을 찾아 돈을 모았다"는 기사가 이어졌다. 오보를 통해 사후 평판을 미리 알게 된 노벨은 '죽음의 상인' 대신 '노벨 상'을 택할 수 있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8일 별세했다. 최근 수년 간 조 회장 집안은 배우자와 자녀들이 일으킨 갑질 스캔들로 인해 '적폐 가문'으로 전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2014년 장녀의 '땅콩 회항' 사건을 간신히 수습했지만, 2018년 차녀의 물컵 갑질 사건과 배우자의 '갑질 동영상' 파문으로 침몰했다. 조 회장은 지난 달 27일엔 국민연금의 스튜어드십코드가 최초로 적용돼 대한항공 경영권까지 상실했다. 그러나 지난 수년 간의 과(過)에도 불구하고 항공산업계에 남긴 조 회장의 공(功)은 뚜렷하다. 부친과 함께 대한항공을 글로벌 국적항공사로 키워 낸 경제적 성취는 '수송보국(輸送報國)'이라는 사훈과 어울린다. 남북화해의 물꼬를 튼 평창올림픽 유치에 애썼고, 프랑스와의 민간외교에 남긴 족적도 크다. 인천의 향토기업인으로서 교육분야에 남긴 흔적도 깊다. 전경련과 경총의 추모 분위기는 정중하다.

조 회장의 별세 소식을 접한 대중의 정서는 그의 '경제적 성취'와 '가문의 패륜' 사이에서 당혹스럽다. 그의 죽음은 이분법으로 분할된 세상의 경계를 서성인다. 만일 땅콩회항 사건 직후 그의 부고 기사가 오보됐다면 조 회장의 인생행로가 지금과는 많이 다르지 않았을까 상상해본다. 요즘 세상에 70은 새로운 인생을 펼치기에 충분한 나이 아닌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윤인수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