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나섰다.
반 전 총장은 특히 "현재의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인천은 이번 세기말께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반 전 총장은 8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행사에 참석, 개회식 기조연설을 통해 "기후변화는 후세대에 넘길 문제가 아닌데 우리는 마치 지구가 2개인 것처럼 안일하게 행동한다"고 비판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그는 연설에서 유엔 사무총장 재직 당시 기억에 남는 일로 '파리기후협정' 채택을 꼽으면서 "문제는 파리기후협정 채택 이후에도 지난 3년간 온실가스 배출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2015년 채택된 파리기후협정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협정 채택 이후에도 온실가스 배출을 막지 못해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는 것이다.
반 전 총장은 이어 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특별보고서를 소개하면서 "우리가 서둘러 행동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반 전 총장은 전 세계에서 온 참석자들에게 행사 개최지인 인천을 간단히 소개한 뒤 "IPCC 보고서의 '1.5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해수면이 더 상승하면 이곳 인천도 이번 세기말에는 물(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라며 "이처럼 기후변화는 우리 생각보다 훨씬 속도가 빠르다"고 설명했다.
반 전 총장은 또 최근 자신이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해결 범국가 기구 위원장으로 내정됐다고 설명하면서 "미세먼지 대응이야말로 기후변화 적응 조치 중 하나다. 미세먼지 해결을 통해 지구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세상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UNFCCC 적응주간' 행사에는 전세계 103개국의 기후변화 담당 공무원, 전문가, 시민사회·산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했다.
반 전 총장은 특히 "현재의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인천은 이번 세기말께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라고 강하게 경고했다.
반 전 총장은 8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적응주간 행사에 참석, 개회식 기조연설을 통해 "기후변화는 후세대에 넘길 문제가 아닌데 우리는 마치 지구가 2개인 것처럼 안일하게 행동한다"고 비판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그는 연설에서 유엔 사무총장 재직 당시 기억에 남는 일로 '파리기후협정' 채택을 꼽으면서 "문제는 파리기후협정 채택 이후에도 지난 3년간 온실가스 배출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2015년 채택된 파리기후협정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만, 협정 채택 이후에도 온실가스 배출을 막지 못해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는 것이다.
반 전 총장은 이어 2100년까지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제한하자는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특별보고서를 소개하면서 "우리가 서둘러 행동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반 전 총장은 전 세계에서 온 참석자들에게 행사 개최지인 인천을 간단히 소개한 뒤 "IPCC 보고서의 '1.5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해수면이 더 상승하면 이곳 인천도 이번 세기말에는 물(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라며 "이처럼 기후변화는 우리 생각보다 훨씬 속도가 빠르다"고 설명했다.
반 전 총장은 또 최근 자신이 대통령 직속 미세먼지 해결 범국가 기구 위원장으로 내정됐다고 설명하면서 "미세먼지 대응이야말로 기후변화 적응 조치 중 하나다. 미세먼지 해결을 통해 지구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세상이 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UNFCCC 적응주간' 행사에는 전세계 103개국의 기후변화 담당 공무원, 전문가, 시민사회·산업계 관계자 500여 명이 참석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