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체육회와 경기도교육청, 일선 학교, 종목단체 관계자들은 지난해 겨울부터 시작된 미세먼지 피해와 관련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분주했다. 그러나 분주하기만 했다. 학생 체육분야를 관리·감독하는 도교육청은 지난달 4일 미세먼지 주의·경보 발령 시 일선 초·중·고교에 '시·도지사의 권고 등 필요 시 등·하교 시간 조정, 수업단축·임시휴업 등 검토와 공공기관 운영 야외 체육시설 운영 제한' 등의 내용을 담은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 실무매뉴얼 및 대응조치 철저' 공문만 배포했다. 공문을 접수한 체육교사 등 체육인들은 도교육청의 지침에 혀를 찼다. 이들은 한목소리로 "경기장에 나갔다가 취소되면 경기장 대관비와 교통비, 숙박료, 식사비 등은 누가, 어디서 보전해 주느냐. 어쩔 수 없이 대회를 강행할 판"이라고 했다.
이 상황에서 체육계 지원을 맡는 도체육회는 제 업무가 아니라는 이유로 '강 건너 불구경'만 하고 있다. 장애인을 포함해 지난해 기준 경기도 체육 인구가 335만여 명에 달하는데 '경기도 실정 맞춤형' 미세먼지 대응 의견이 없다는 게 오히려 신기할 따름이다. 미세먼지에 대한 취재에 나서자 한 종목단체 인사는 "도와 도교육청, 지자체, 민간이 협의만 된다면 광주 곤지암 팀업캠퍼스와 화성 드림파크 등의 시설을 대회 취소 시 대체 시설로 이용할 수 있지 않느냐"고 아이디어를 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에서 지난달 27일 미세먼지 경보 발령 시 대회운영 조치를 담은 개선안도 훌륭한 대응안이다.
도체육회와 도교육청은 도내 체육 분야 주요 담당자를 한 데 불러 의견을 종합·교환할 수 있는 장을 우선 조성해주면 된다. 이들의 의견을 취합·분석한다면 더 좋은 미세먼지 대책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도 보인다. 소통의 중요성, 이럴 때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송수은 문화체육부 차장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