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중학교뒷편야산폐건물
학생 수가 급감하고 있는 김포중학교 학생들의 통학로 중 한 곳인 김포중 경계 야산과 비포장길이 장기간 방치돼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사진은 경찰이 출입금지 띠를 두르고 접근을 막은 김포중 뒤편 폐건물.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학생 등하교 지름길 야산·비포장로
폐건물 방치탓 탈선장소 이용 주장
'길목' 도교육청 재산 재정비 난항
토지주 "기부채납 전제 사용허가를"

학생 수가 급감하고 있는 김포중학교(2018년 10월 23일자 10면 보도) 학생들의 통학로 중 한 곳이 장기간 우범지역으로 방치돼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9일 김포교육지원청과 제보자 등에 따르면 문제의 구간은 김포중 경계 야산과 비포장길로, 김포중을 비롯해 또 다른 3개 학교 재학생들의 등·하교 지름길로 이용되고 있다.

인근 주민들은 학교환경위생 정화구역이 무색하게 이 일대가 탈선장소로도 이용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야산에는 한때 음식점으로 운영되던 폐건물 여러 동이 철거되지 않은 채 분산돼 있으며 주민들의 우려를 반영하듯 경찰에서 출입금지 표지판을 설치해 놓기도 했다.

일부 주민과 학부모들은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김포중을 살리기 위해서라도 해당 지역을 정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토지주가 이곳을 정비하려 해도 공사 차량이 드나들 부지가 경기도교육청 행정재산이라 개발을 추진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행정 목적으로만 쓰여야 하는 행정재산은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상 대부·매각·교환·양여·신탁 또는 대물변제하거나 출자 목적으로 처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1933년 개교한 지역 명문 김포중은 북변·사우동 옛 도심 공동화와 더불어 금파·풍무·감정중과 학군이 묶인 이후 학부모와 학생들의 큰 학교 선호 현상으로 학생 수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2014년 631명에 달하던 학생 수는 2016년 428명, 올해 212명으로 5년 만에 약 66%가 감소했다.

졸업생 학부모 A씨는 "김포중 기피현상을 해결하려면 특성화 교육보다도 당장 면학 분위기와 직결된 주변 정비부터 고민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현재 토지주는 보행로 조성과 기부채납 등을 전제로 차량 길목 부지(행정재산) 사용허가를 희망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나중에 행정재산이 어떻게 쓰일지 모르는 데다가 만약 공동주택 등이 들어서 주민들의 도로로 사용된다면 다시 되돌리기도 어렵다"며 "울타리를 세워 학생들이 부지를 활용토록 하는 등 교육지원청 차원에서 정비하는 방안도 있다"고 설명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