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음파검사로 癌 조기발견 가능
약물치료도 안되면 내시경수술

전문가들 역시 환경요인으로 인해 인체에 발생하고 있는 각종 질환 등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인 스스로 본인의 건강상태를 체크 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전문가들은 인체의 면역체계를 증진 시키고 약재의 효능에 따른 올바른 처방 방법을 매주 수요일 경인일보 지면을 통해 알려줄 계획이다.
'전립선비대증'은 남성들이 한 번 쯤 겪는 대표적인 비뇨기과 질환이다. 전립선비대증은 흔히 50대는 50%, 70대는 70%, 90대는 90% 생긴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다.
사실 질병이라기보다 노화에 따른 증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다. 전립선은 골반 부위에 방광 아래 밤톨만 하게 생긴 조직이다. 방광 아랫부분에 위치하고 소변이 흐르는 요도를 싸고 있다.
전립선이 노화의 과정으로 커지게 되면 요도를 눌러 요도가 좁아지고 소변 줄기가 약해진다. 소변이 잘 배출되지 않으면 방광에 잔뇨가 생기고 이로 인해 소변을 여러 번 보는 빈뇨가 생긴다. 또 야간에 소변을 보는 야간뇨도 생긴다.
전립선 증상은 특히 추운 겨울철, 정신과 약(우울증약, 수면제)과 코감기약 복용, 과음할 경우 심해진다. 따라서 다른 복용약이 있으면 꼭 비뇨기과를 내원해 상담 후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전립선비대증 진단은 요속검사, 피검사, 초음파 검사로 한다. 간단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전립선의 크기와 전립선 결석, 전립선암 등을 발견할 수 있다. 전립선에 결석이 있으면 증상이 악화되고 혈뇨가 생길 수 있다.
또 말기가 될 때까지 증상이 거의 없는 전립선암의 경우 초기 발견 시 완치율이 높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립선비대증의 치료는 약물치료를 기본으로 한다. 요도를 넓혀주는 약과 전립선 크기를 줄여주는 약들이 있는데, 병원을 내원해 정확한 진단과 본인에게 맞는 약물 처방이 중요하다.
약물을 복용해도 호전이 없을 경우 내시경적인 수술이 있다.
수술은 개복수술이 아닌 요도 내시경을 이용해 간단하게 진행된다. 커진 전립선 조직을 내시경을 이용해 조금씩 깎아내 크기를 줄이는 수술이다.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들이 배뇨를 편하게 한다.
전립선비대증은 꾸준히 인내력을 가지고 치료해야 한다. 주기적인 요속 검사, 피검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전립선의 증상과 크기 변화, 악성 변화를 확인해야 한다. 꾸준히 약물치료를 하면 전립선 크기를 약 30%까지 줄이고 건강한 배뇨를 할 수 있다.
/황종호 수원 연세H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