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jpg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네이버 본사 모습. /경인일보DB

포털 사업자 네이버의 '지역언론 차별'을 놓고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가운데, 전국의 언론 시민단체들이 네이버측에 '지역 홀대 중지'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나섰다.

경기민주언론시민연합을 비롯한 전국의 지역별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은 15일 공동성명을 내 이 같이 요구했다.

민언련은 이날 성명에서 "네이버의 지역민 무시와 지역언론 배제가 심각하다"고 진단하면서 "대부분의 뉴스 소비가 포털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현실에서 네이버의 지역언론 배제는 언론의 다양성과 지역민의 알권리를 위협하는 행위이며, 더 나아가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할 여지가 크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untitled-12.jpg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네이버 본사 모습. /경인일보DB

민언련은 특히 "광안대교 사고나 제주도 예맨 난민 문제 등을 지역신문이 가장 먼저 발굴 보도해도 네이버 검색 결과는 뒤따라 쓴 전국지의 기사로 채워졌다. 네이버의 자동기사 추천시스템에도 지역언론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이는 네이버의 검색 알고리즘이 사회적 책임보다는 효율과 수익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언련은 이어 "네이버 뉴스 배열에서 정치적 중립, 공익적 가치 실현을 위해 어떤 원칙을 적용하고 있는지 전혀 알 수 없고, 드러난 결과가 다양성 훼손과 지역 차별"이라며 "이런 구조에서는 지역언론의 저널리즘 기능은 더 약화 될 수밖에 없고 그 부작용은 지역사회 전체가 떠안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들은 아울러 "현재 네이버는 지역언론 배제에 대한 비판과 개선 요구의 목소리에도 불통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네이버는 지금이라도 사회적 영향력에 걸맞게 지역언론 배제를 철회하고 지역민의 알 권리와 여론 다양성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민언련은 성명에서 지역언론에 대해서도 "저널리즘 복원을 위한 특단을 대책과 변화된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