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112311313123.jpg
권경우 성북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한국사회는 다양한 영역에서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인구의 급격한 변화, 기술 발달에 따른 사회 환경의 변화, 압축 근대화와 도시화에 대한 대응 등은 단순한 국면 전환을 넘어 사회의 근본적인 전환으로 다가온다. 특히 '인구절벽'과 '지방소멸'의 담론은 우리 인생의 노화처럼, 알고 있지만 인정하기 싫은 '사실'이다. 물론 중앙 정부 차원에서 '도시재생'이라는 사업에 50조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준비함으로써 위기에 대한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지역에 따라, 사업 주체에 따라 도시재생이 실제로 도시를 바꾸고, 지역을 살리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남는 의문은 특정 지역이나 계층이나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사회라는 공동체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그 가운데 주목하는 것으로 대학과 지식사회의 풍경이 있다. 현실은 '풍경'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에는 처참하고 가혹하다. 작년 대비 올해 대학의 강좌수는 6천655개 줄었다. 그 수업을 감당하던 시간강사들의 비명소리는 생각보다 크지 않다. 그들은 우리 사회 어딘가에서 자신과 가족만 들을 정도의 신음소리로 이 찬란한 5월을 견디고 있을 것이다. 나는 이러한 문제가 기본적으로 대학의 문제이자 국가 학문정책의 문제라고 생각하며, 그 영역에서 대안을 강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동시에 여러 대안 중 하나로 지역문화 차원에서 지식연구네트워크와 같은 공동체를 모색해보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 지식사회의 문제를 지역문화생태계 관점에서 바라보고 대안을 찾자는 말이다.

지역사회는 교육과 복지, 문화, 환경, 의료 등 우리가 직면하는 모든 현안들이 펼쳐지는 곳이라는 점에서, 파편적이고 전문화된 지식만 넘치는 사회에서 총체적 지식의 향연을 지역사회에서 만들어보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지식의 문제를 대학과 지식인 등 특정 주체에게 '위탁'해 왔던 게 사실이다. 이제 지식생산의 구조와 방법을 지역문화 생태계 구조에서 고민할 때가 되었다.

지역문화생태계 관점에서 그동안 마을만들기와 마을공동체 복원사업 등은 혁신적인 사례뿐만 아니라 무너져가는 공동체를 살리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럼에도 현실은 피로감에 물들어 있음을 보게 된다. 아무리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된다고 하더라도 그 안에서 하는 활동과 주체는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대안이 '학습'이라고 생각한다. 이제 활동을 넘어 학습공동체로 나아가자는 것이다. 공동체의 학습은 단순한 지식과 정보의 공유 차원이 아니라 지식과 토론을 통한 공동체의 가치와 비전을 공유하는 과정이다.

이때 학습공동체의 물리적 토대는 도서관과 동네책방, 카페 등 다양한 공간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도서관은 공공도서관뿐만 아니라 사립작은도서관 등이 촘촘하게 되어 있는 곳도 많다. 평생학습기관도 중요한 공간이자 자원이다. 도서관은 책을 읽는 공간이자 학습의 공간이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서로가 배우는 공간이다. 지식인과 대중, 전문가와 일반인, 예술가와 주민 등의 구분은 이제 의미가 없다. 우리는 서로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가 될 필요가 있다. 그것은 지역사회라는 특정한 시공간적 경험을 공유하는 공동체에서 발휘될 수 있는 일종의 '선한 영향력'이다.

다음으로 지역마다 편차는 있지만 대학과의 연계를 통해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다. 대학과의 연계는 대학에 갇혀 있던 교수와 연구자, 학생들이 실제 지역을 경험할 수 있게 되고, 지역사회에서는 지역과 아무 관련성이 없는 외부의 전문가를 불러 일회성 행사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출판문화진흥원은 '인문활동가 지원사업'을 전국 단위로 수년째 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지식전문가들이 지역사회 차원에서 많은 일들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활동과 성과가 지금 하는 것처럼 개인연구자에 대한 일시적 인건비 지원 형태로 그친다면 '인문활동'은 지역의 자원으로 축적될 수 없을 것이다. 인문활동가 사업을 통해 발굴된 지식연구자들은 지역의 도서관과 독서동아리, 시민교육, 평생학습, 예술가 등 다양한 자원들과 연계할 수 있는 출구 전략이 절실하다.

지식인의 역할과 임무를 묻는 시대는 끝났다. 지식인이 아니라 연구자로서 혹은 전문가로서 다양한 시민들과 함께 호흡하고 삶의 공간에서 일상의 문제를 고민하는 차원의 실천이 필요하다. 대학이라는 공간을 넘어 지역문화 차원에서 혁신적인 모델을 만들어갔으면 좋겠다. 지역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진짜 지식이 필요한 시대이다. 마을공동체, 시민자산화, 사회적경제, 공공미술, 문화예술교육 등 할 일이 태산이다. 지식이 필요한 곳은 내가 살고 있는 동네이다. 

 

/권경우 성북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