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록파 시인 중 한 명인 조지훈 시인은 수필 '주도유단(酒道有段)'에서 '사람의 주정을 보고 그 사람의 인품과 직업은 물론 그 사람의 주력(酒歷)과 주력(酒力)을 당장 알아낼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주도(酒道)를 18단계로 나누었다. 이 분류법은 시대가 바뀐 지금에도 많은 공감을 이끌어낸다. 물론 주당들에게 국한된 얘기다.
일단 '술을 아주 못 먹진 않으나 안 먹는 사람'(不酒)이 가장 하위 레벨인 9급이다. 이어 외주(畏酒), 민주(憫酒), 은주(隱酒), 상주(商酒), 색주(色酒), 수주(睡酒), 반주(飯酒)를 거쳐 1급 '술의 진경(眞境)을 배우는 사람'을 뜻하는 학주(學酒)에 이르러서야 처음으로 '주졸'(酒卒)이란 별칭을 얻게 된다. 시인에 따르면 2급 이하 그룹은 술의 진경 ·진미를 모르거나 목적을 위하여 술을 마시는 사람들이다.
다음은 고수의 술세계다. 애주(愛酒), 즉 '술의 취미를 맛보는 사람'이 초단이다. 비로소 술꾼으로 인정받는 '주도'(酒徒)라는 칭호가 붙는다. 다음으로 '술의 진미에 반한 사람'(2단), '술의 진경을 체득한 사람'(3단), '주도를 수련하는 사람'(4단), '주도 삼매에 든 사람'(5단), '술을 아끼고 인정을 아끼는 사람'(6단), '마셔도 그만 안 마셔도 그만, 술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는 사람'(7단) 순으로 서열이 정해진다. 단이 높을수록 주선(酒仙), 주현(酒賢), 주성(酒聖) 등 고상한(?) 칭호가 주어진다. 8단은 '술을 보고 즐거워하되 이미 마실 수는 없는 사람'인데 술 때문에 건강을 잃어 한잔도 입에 댈 수 없는 사람을 칭하는듯하다. 애주가에게는 최악의 상황일진데 '주종'(酒宗)이라는 칭호만큼은 남부럽지 않을 듯싶다. 마지막 9단에게 부여된 칭호는 열반주(涅槃酒)다. '술로 말미암아 다른 술 세상으로 떠나게 된 사람'이다. 해탈을 통해 최고의 경지에 올랐을지는 몰라도 저승에서 술잔을 기울여야 한다. 한때 이 분류법을 외우려 한 적이 있다. 자가진단(?)에 도움이 될듯해 암기를 시도하다가 이게 무슨 짓인가 싶어 때려치웠지만 지금도 술을 마시면 가끔 기억을 더듬어 주도유단의 함의를 찾아보곤 한다.
취객이 경찰의 뺨을 때리는 등 난동을 부린 동영상이 나돌며 세상이 시끄럽다. 현장에 출동한 여경에게까지 불똥이 튀고 있다. 그 취객은 주도유단의 어느 단계일까. 조지훈 시인은 '주정도 교양'이라고 했다.
/임성훈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