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아직까지 법적으로 금지
죽음, 한사람의 인생 투영하는 거울
깨닫지 못했던 '삶의 의미' 되짚어
두려워 외면 '마지막 선물' 놓치는 것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안락사가 법으로 금지돼 있습니다. 다만 작년부터 생명만 연장하는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는 존엄사법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법이 통과되자마자 연명치료 거부 희망자가 1만 명을 넘어서는 등 '자발적 죽음'에 대한 관심은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천주교 신부는 적어도 한 달에 다섯 번 이상 죽음을 마주합니다. 신자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종부성사라는 종교의식을 치러야 하기 때문입니다. 임종을 앞둔 분들에게서 발견한 공통점이 있습니다. 아무리 의연했던 사람이더라도 죽음 직전에서는 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는 것입니다. 이 모습을 지켜보는 가족은 조금이라도 그 생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수명이란 이미 정해진 것이고, 그 마지막을 잘 수용하는 것이 인생을 완성 짓는 마지막 한 걸음이라는 사실을 본인도 가족도 모르지 않습니다. 문제는 죽음을 대하는 태도입니다. 어떤 이들은 죽음을 단순히 생명이 꺼지는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왕이면 최대한 고통 없이 죽기를 원합니다. '존엄한 죽음'이라는 이름으로 안락사를 생각합니다. 누군가의 조력으로 죽음의 고통을 줄이는 것이 본인에게도 가족에게도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죽음을 앞두고 겪게 되는 고통은 삶의 중요한 일부입니다. 고통을 통해서 생명의 귀중함을 깨닫게 됩니다. 시한부 인생을 사는 많은 환자들은 내게 주어진 이 하루가 얼마나 귀중한 것인지를 뼈저리게 느낍니다. 또한 자기 인생에 함께한 사람들이 얼마나 소중하고 값진 선물이었는지를 뒤늦게 깨닫게 됩니다. 어쩌면 전 생애 중 죽음을 앞두고 겪는 고통이 인생에 있어서 가장 값진 순간일는지 모릅니다.
죽음은 한 사람의 인생을 투영하는 거울과 같습니다. 살면서 나누고 베풀 줄 알았던 사람들은 죽음도 건강하게 맞이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가까운 지인이 간암 말기 판정을 받고 투병 중에 있었습니다. 그는 고통 중에도 삶의 마지막 순간을 의미 있게 채우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중병으로 말도 잘 못했던 그는 자신을 찾아오는 모든 이들을 미소로 맞기로 결심하고, 남은 이들에게 그 순간이 아름다운 추억이 되도록 최선을 다했습니다. 생명은 값진 것이고 고통 중에도 빛나는 것이라는 사실을 그는 죽음을 앞둔 고통 중에 깨달은 것입니다. 그를 찾아왔던 많은 이는 그 모습을 보고 자신의 삶을 반성했습니다. 건강한 몸을 하고도 온갖 불평으로 소중한 시간들을 무의미하게 보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은 것입니다. 반면 사는 동안 자기중심적으로 살았던 사람들은 죽음 전에 겪는 고통을 견디기 힘들어합니다. 인생을 혼자 살아왔던 그는 죽음을 만나면서 더욱더 외로움의 나락으로 떨어져가는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더할 나위 없는 두려움에 떨게 됩니다.
요즘 안락사에 관한 시류는 죽음을 그저 한순간 벌어지는 현상학적인 문제로 바라본다는 것입니다. 죽음의 문제는 생애 전반을 두고 바라보아야 합니다. 죽음에 직면한 사람이나 가족은 이제까지의 삶을 되돌아보고 지금이라도 인생의 의미를 잘 정리하고 받아들이는 일을 시작해야 합니다. 고통이라는 과정도 자연의 섭리이고 이 고통은 미처 깨닫지 못했던 삶의 의미를 하나씩 되짚게 해줍니다. 고통이 두려워 죽음을 앞둔 시간을 외면하려는 것은 어쩌면 생이 우리에게 주는 마지막 선물을 놓치는 것일지 모릅니다.
갓 태어난 아이가 변을 못 가린다고 흉보지 않습니다. 생을 마감하면서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고 어느 누가 존엄하지 않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죽음을 자연의 섭리에 맡기고 우리는 지금 죽음의 일부를 지내고 있다고 생각해야 합니다.
/홍창진 천주교 수원교구 기산성당 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