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61801001392200068671

아주 아주 오래전 학교 수업이 끝나고 돌아오는 길. 온 동네가 파헤쳐진 좁은 골목길 한가운데 묻힌 파이프가 집 대문 아래를 지나갔다. 문을 열었을 때, 우물가에는 앙증맞은 수도꼭지가 햇빛을 받으며 반짝거렸다. 그때의 그 감동을 잊을 수 없다. 하지만 큰 비가 오면 수도에선 한동안 흙탕물이 나오곤 했다. 그래도 집에 수도가 있다는 게 마냥 좋았다.

상수도의 기원은 BC 312년 로마로 거슬러 올라간다. 주변의 샘물과 호수의 물을 관을 통해 끌어와 공동 목욕탕과 분수대에 공급한 게 그 시작이었다. 상수도가 없었다면 고대 로마제국의 영광도 없었다. 로마 황제들은 도로만큼이나 상수도 설치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그로 인해 도시에 물이 넘쳤고 그 물로 로마 인구 150만명을 먹여 살렸다고 한다. 지도자의 최고 덕목은 예나 지금이나 치수(治水)다.

인천에 상수도가 보급된 건 1910년 12월 1일이었다. 부산, 서울, 평양, 목포에 이어 전국에서 5번째다. 개항지 치고는 꽤 늦은 편이다. 노량진에서 넘어온 물은 송현 배수지(현재 인천 동구 송현동)로 합류됐고 이곳에서 인천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1883년 개항 전만 해도 전동, 용동, 화수동, 송림동 등엔 큰 우물이 있어 지역 주민들의 식수 확보에 어려움은 없었지만, 개항 후 급격한 인구 증가는 상수도의 필요성을 가중시켰다. 신포동 일대 일본, 중국, 영국 조계지의 영향도 컸을 것이다.

'붉은 수돗물 (적수·赤水)'은 B급 공포 영화의 상징이자 단골 메뉴다. 한밤중에 찾아온 심한 갈증. 수도를 틀었는데 붉은 피가 쏟아진다. 그리고 시작되는 살육(殺戮). 이런 공포를 인천 주민들이 20일째 체험중이다. 영화처럼 핏빛은 아니지만, 인천에서 적수가 배출되기 시작한 건 지난달 30일이었다. 처음엔 서구에서 시작됐는데 중구와 영종도, 마침내 강화도까지 확산했다. 공무원들의 초기 부실대응이 사태를 키웠다. 시민의 분노가 폭발하자 어제 정부가 "수돗물 공급 체계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준비 부실, 초동대처 미흡 등 대응 부실 때문 "이라고 발표했다. 그제는 그동안 침묵하던 인천시장이 사과문을 발표하고 머리를 숙였다. 치수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지도자는 고개를 숙여야 한다는 게 다시 한 번 입증됐다. 그럼에도 모든 게 언제쯤 완전 정상화될지 모른다는 게 인천 시민에겐 여전히 공포가 아닐 수 없다.

/이영재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