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환경부가 발표한 이번 사태의 종합적인 원인은 수돗물을 관리하는 공직자들의 무능, 부실 대응, 무책임 등 3박자가 맞아 떨어진 '100% 인재(人災)'로 드러났다.
급수 과정을 바꾸는 수계 전환 과정에서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매뉴얼은 무시됐고, 사고 후 피해 시민들에게 정확한 상황을 알리고 초기 사태 수습에 책임을 다해야 할 상수도사업본부 직원들은 책임회피와 축소 보고 등으로 일관했다. 인천시 수뇌부 또한 이들의 말만 믿고 문제의 심각성을 빨리 깨닫지 못했다.
사태 초기 주민들 눈앞에선 붉은 수돗물이 쏟아져 나오는데도 관련 직원들은 '수질엔 문제없다. 마셔도 상관없다'는 식의 안일한 대응으로 주민들의 화를 돋웠다. '일주일이면 사태가 종결된다', '정수장 수질엔 문제없다(조사결과 오염된 것으로 확인)'는 축소·허위 보고는 문제 해결의 '골든타임'을 놓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됐다.
붉은 수돗물 사태가 그동안 누적돼온 인천시 공직자들의 무사안일주의의 종합판이란 얘기도 나온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난해 취임 이후 공직사회의 성과주의와 혁신을 강조했다. 연공서열이 아닌 성과중심의 인사와 시정 전반에 걸친 혁신으로 조직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게 취임 일성이었다.
하지만 박 시장의 이런 시정 철학은 구호로만 그쳤을 뿐 직원들에게 깊숙이 침투하지 못한 채 물과 기름처럼 겉돌기만 했다. 시장이 자신의 이런 철학을 시정 전반에 걸쳐 구현해낼 동력을 찾지 못하면서 실질적으로 조직 자체의 변화는 가져오지 못했다는 평가가 많다. 사태 수습 그 이후가 중요하다. 사고 원인이 인재로 확인된 만큼 가장 확실한 재발 방지책은 인천시 조직 전체에 대한 쇄신이 돼야 할 것이다.
/김명호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boq79@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