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물포지하상가
24일 오후 인천시 미추홀구 제물포지하도상가의 모든 점포들 문이 닫혀 있다. 올해 초 진행할 계획이던 제물포지하도상가 개·보수 공사가 수개월 늦은 다음 달에야 본격화하면서, 공사와 연계한 IoT 화재감시시스템 구축도 늦어지게 될 전망이다.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市직영 제물포·배다리 우선 추진
개보수 공사 지연탓 일정 연기돼
올해 구축 마친 서울시와 대조적
"가능한 곳부터 설치를" 목소리

대표적인 재난 취약시설인 지하도상가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첨단 화재감시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 더디기만 하다는 우려가 크다.

인천시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지하도상가에 설치하기로 했다가 이와 연계한 개·보수공사가 일정보다 늦어졌기 때문인데, 시민 안전을 위해 설치가 가능한 지하도상가부터 우선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애초 인천시설공단은 올해 2월부터 6월까지 1억8천만원을 들여 제물포지하도상가(점포 264곳)와 배다리지하도상가(점포 53곳)에 'IoT 화재감시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하기로 계획했다.

IoT 화재감시시스템은 무선망(LTE)을 이용한 센서가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즉시 소방서나 점포주 등에 전파하는 방식이다.

현장에서 경보만 울리거나 화재경보등이 깜빡이는 기존 아날로그식 유선 화재감지기보다 '화재 진압 골든타임'(5분) 확보가 빠르고, 고장률도 낮다.

하지만 올해 초 진행할 계획이던 제물포지하도상가 개·보수 공사가 수개월 늦게 본격화하면서, 공사와 연계한 IoT 화재감시시스템 구축도 늦어지게 됐다.

개·보수공사를 진행하지 않는 배다리지하도상가도 제물포지하도상가와 함께 구축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 현재까지 지지부진하다.

인천시설공단 관계자는 "제물포지하도상가 개·보수공사의 주체가 공단에서 인천시 종합건설본부로 이관돼 공사가 늦어지고 있지만, 공사 완료 시점에 IoT 화재감시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며 "배다리지하도상가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제물포지하도상가와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혹시 모를 화재 등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선 지하도상가 안전대책을 가장 시급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현재 인천지역 지하도상가는 15곳인데, 제물포와 배다리를 제외한 위탁 운영 지하도상가 13곳은 '지하도상가 관리운영조례 논란' 등으로 당장 IoT 화재감시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

제물포지하도상가 개·보수공사 전 배다리지하도상가에 시범적으로 구축해 문제점이나 보완책을 확인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올해 2월 소공동지하도상가(서울시청~명동)에 화재감지는 물론 긴급 대피 유도나 여성화장실 범죄예방 기능 등을 갖춘 IoT 시스템을 구축했다. 서울시는 이 시스템을 전통시장, 캠핑장 등으로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한 소방분야 전문가는 "IoT 시스템은 기존 인테리어를 손상하는 방식이 아니라서 시민들이 이용하는 중에도 설치할 수 있다"며 "안전대책은 항상 시급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범사업부터 하루빨리 진행하면서 전체 지하도상가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할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경호기자 pkh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