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금주 음용 가능여부 통보
인천시, 눈덩이 보상 주민과 갈등
피해 줄소송 예고 후속대책 '주목'
5월 30일부터 한 달째 이어지고 있는 인천 붉은 수돗물(적수·赤水) 사태가 수습 국면으로 진입하면서 환경부와 인천시가 '정상화' 선언 초읽기에 들어갔다.
인천시는 수질 정상화만큼이나 먹는 물에 대한 신뢰를 예전으로 돌려놓아야 하는 큰 과제에 직면해 있다.
환경부 주관 수돗물안심지원단은 피해 지역인 서구, 영종지역의 수질이 사고 이전 수준으로 돌아옴에 따라 음용 가능 여부를 판단해 이번 주 안으로 주민들에게 통보하겠다고 30일 밝혔다.
다만 필터의 착색 등 주민들의 불안감을 고려해 보다 엄격한 판단 잣대를 갖고 정상화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여지를 남겼다.
적수 사태는 꼭 한 달 전인 5월 30일 공촌정수장의 물을 공급받는 인천 서구 검단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취수장 정기 검사로 가동을 중단한 공촌정수장 대신 수산정수장의 물을 공급하는 '수계전환'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것 외에는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했다.
사태가 걷잡을 수 없어지자 정부가 직접 나서 원인 규명과 사태 수습에 나섰다. 정부 조사 결과, 10시간 동안 서서히 진행해야 할 수계전환을 단 10분 만에 완료하면서 수압이 급격히 높아졌고, 관로 내부 이물질이 떨어져 나가 적수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부는 이를 인천시의 안일한 대응이 부른 '인재(人災)'로 규정했다.
이번 일로 인천시 상수도 행정의 민낯이 드러났다.
정수장은 절대 문제가 없다던 상수도사업본부 설명과는 달리 수돗물 역류로 정수장에 이물질이 유입된 사실이 정부 조사에서 밝혀졌다.
또 물의 혼탁 여부를 측정하는 탁도계마저 고장이 나 있었고, 상수도 관로 정보에 대한 관리도 엉망이었다.
사태를 책임져야 할 주요 간부들이 명예퇴직을 앞둔 상황이어서 축소 보고와 초기 대응 부실이 빚어졌다는 비난도 받았다. 인천시는 사태가 진정되면 상수도 행정의 체질 개선을 위한 대대적인 개혁에 나설 계획이다.
인천시가 정상화 선언을 하더라도 후유증까지 극복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릴 예정이다.
피해 보상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으나 보상 기준과 시점에 주민과 이견을 보이고 있다. 관련 고소·고발사건은 경찰이 조사에 착수했고, 피해 관련 줄소송이 예고됐다.
등 돌린 피해 지역 민심을 되돌리기 위해서는 인천시가 정상화 선언 이후 후속 대책까지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적수 한달 정상화 선언 '임박'… 물 신뢰도 다시 투명해질까
입력 2019-06-30 22:06
수정 2019-06-30 22:0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7-01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인천시의회, 행정사무조사 특위 구성
201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