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경과원 기업 피해 신고센터 설치
경기신보 100억 긴급경영자금 지원
기술·제품 국산화 예산 최우선 조치
"日 제품 불공정행위 근절 기회로"


'반도체의 본산'인 경기도가 일본의 무역 보복(7월 4일자 2면 보도)에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도는 피해 기업 지원을 위한 피해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일본 제품의 독과점 현황 전수조사를 통해 감춰진 일본 독과점 피해까지 모두 발굴,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4일 밝혔다.

오후석 도 경제실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을 통해 "일본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의 한국 수출 규제 조치로 인해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곳은 경기도내 기업"이라며 "이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도 수출규제 품목이 100개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단기와 장기로 나눠 대응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우선 도는 정확한 피해 현황 파악과 신속한 지원을 위한 '일본 반도체 수출규제 피해신고센터 (031-259-6119)'를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기업 SOS상담센터에 설치하기로 했다.

신고센터는 경제기획관이 총괄하게 되며 매일 신고 접수 내용을 분석하고 관계기관이 현장 실태 조사 후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피해가 발생할 경우 경기신용보증재단을 통해 1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도 지원하게 된다.

또 다른 대응방안으로 도는 일본 기업이 독점 또는 과점하고 있는 반도체 부품과 장비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해당 제품의 국산화 가능성과 관련 기술을 갖고 있는 해외 기업 투자 유치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일본 독과점 기술이나 제품의 국산화를 추진하거나 국산화에 성공한 국내 기업에는 연구개발 예산과 사업화 등에 필요한 자금을 최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도내 반도체 수출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548억달러로 국내 반도체 수출액의 43.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사태 장기화시 수출에 악영향은 물론, 반도체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오 실장은 "현재 경기도의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반도체 생태조성을 위해 글로벌 앵커 기업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며 "미국의 대표적인 반도체 장비 기업 유치를 위해 협상 중이다. 올해 안에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대응을 요청한 이재명 경기도 지사는 "독과점은 경제를 망치는 불공정 행위"라며 "이번 도의 조치는 일본 중심의 독과점 상황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일본 스스로 열어준 것으로 도내 반도체 산업의 공정경제 생태계를 만드는 기회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 것"이라고 밝혔다.

/조영상기자 donal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