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방적일땐 상처… 공감능력 필요
인격은 물론 '마음'까지 보살펴야
이혼위기 왔을 때 이혼은 답 아냐
부부의 인연 지속위해 '사랑이 답'

사랑이라는 알맹이를 잃고 거죽만 남은 채 홀로 된 사람들은 가끔 다른 사람이 잃어버린 알맹이를 채워줄 거라 생각합니다. 그렇게 하면 실패한 부부 생활을 다시 시작해 성공할 수 있을 거라고 주장합니다. 전에 맺은 부부의 인연은 진짜 사랑이 아니었다고 억지를 부리기도 합니다. 그것은 식어버린 자기감정만 보기 때문입니다. 부부 사랑에 있어 감정은 일부일 뿐 그것이 사랑의 전부라 보기는 어렵습니다. 부부 사랑은 두 인격이 진지하게 나누는 보다 책임 있는 행위입니다. 중요한 경기에서 페널티 킥을 실축한 축구 선수에게 다시 한 번 공을 차도록 기회를 주는 심판은 없습니다. 결혼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잃어버린 사랑의 알맹이를 누군가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사별이나 사기 결혼 외에 재혼을 반대합니다. 최근 저명한 인사가 새로운 사랑을 만났다며 지금 배우자와의 이혼을 법정 다툼으로 몰고 가 세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세상의 평가도 다양합니다. 사랑 없는 결혼을 지속할 의미가 없다는 의견도 있고 법이 보장하는 혼인의 신성함을 지켜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일전에 제가 담당하고 있는 성당에 초상이 생겼습니다. 50대 후반에 5평 남짓한 쪽방에 사는 독거자였습니다. 그는 성당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천주교 세례를 받은 사람이어서 한 달에 한 번 성당의 봉사자들이 방문해 간단한 식음료를 챙겨드리곤 했습니다. 어느 날 봉사자들이 한 달 주기가 되어 그 집을 가보니 그는 이미 3주 전에 사망해 시신에서 악취가 나고 있었습니다. 시신을 수습하고 장례를 치르기 위해 연고자를 찾았습니다. 동생이 천주교 신부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는 봉사자들의 얘기를 듣고 수소문 끝에 동생 신부님을 찾았습니다. 그 신부님은 당시 큰 수도원 원장님이었습니다. 저도 명성을 들어 잘 아는 신부님이었지요. 명문대 법대를 졸업하고 수도원에 들어가 로마 유학을 거쳐 수도원장에 이르는 종교계의 엘리트였습니다.
둘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수도원을 들어갈 때만 해도 형님은 사업가로 성공한 분이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부모님 부양은 걱정하지 않고 신부의 길을 선택했는데 갑자기 닥친 사업실패와 이혼이 형님을 폐인으로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당장에라도 수도원을 나오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았지만 그러지 않기로 결심했다고 합니다. 내가 맺은 하느님과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였다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 신부들은 하느님과 사랑에 빠져 하느님과 결혼하는 사람들이니 그분의 말씀이 백번 옳습니다. 신부의 알맹이는 하느님 사랑이니까요.
우리 같은 보통 사람이 하는 사랑은 그와 같을 수 없다고 생각하나요? 공감능력이 없는 아이처럼 자기만 좋으면 내 짝은 상처를 받든 말든 상관 않는 사람들이 하는 사랑을 과연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사랑은 단순한 자기감정이 아닙니다. 상대방의 인격은 물론 세세한 마음까지 보살피고 공감하는 것입니다. 그 순간 나는 사라지고 내가 너가 되고 그가 내가 되는 것입니다. 이혼의 위기가 왔을 때에 이혼은 답이 아닙니다. 사랑이 답입니다. 사랑의 힘으로 공감능력을 회복해 부부의 인연을 지속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많은 사람에게 상처만 주고 본인도 상처받은 인생이 될 것입니다.
/홍창진 천주교 수원교구 기산성당 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