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6일 인천시가 남동구 구월동에 있는 인천시교육청 청사를 서구 '루원시티'나 서구에 있는 인천시인재개발원 부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교육청에 공식 제안한 것이다.
인천시의 인천시교육청 청사 이전 제안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전임 유정복 인천시장 재임 시절인 지난 2016년과 송영길 전 인천시장도 비슷한 제안을 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수차례의 이전 제안은 무산됐다.
그동안의 학습효과 때문인지 이번 제안에 대해 시교육청 직원들의 분위기는 냉랭하다. 당혹스러워하는 목소리조차 들리지 않는다. 우리 집 이사 문제를 남이 거론하는 것에 대해 불쾌한 감정을 느낄 법도 한데, 교육청 내부에서는 이 같은 기류조차 감지하기 힘들다. 적어도 '청사 이전'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는 인천시교육청이 철저히 불감증에 걸린 것 같다.
이유가 있다. 교육청 직원들은 사안의 본질을 살피기보다는 시의 제안을 정치적으로 해석하려는 이들이 많다. 인천시가 어려움을 겪는 이슈를 또 다른 이슈로 덮으려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일의 순서가 잘못됐다고 보는 이들이 많다. 최근까지 인천시가 보내온 이전 논의 관련 공문 하나 없었다고 한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이 인천시민들의 생각일 것인데, 시의 이번 제안에서 공론화를 위한 절차나 방법에 대한 고민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교육청은 "검토할 계획이다"는 입장을 내놓기는 했지만, 시의 제안을 진정성 있게 다루기는 힘들어 보인다는 것이 지금 교육청의 분위기다.
시교육청 청사 이전은 특정인의 개인기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고 그래서도 안되는 사안이다. 교육청 청사 이전이 인천시민을 위해 꼭 필요해서 추진하는 것이라면 인천시는 즉흥적인 기자회견이라는 형식을 통해서가 아니라 다른 방식을 택했어야 옳다. 일을 풀어가는 데는 형식과 절차가 중요하다.
/김성호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