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탄소년단을 비롯한 한류스타들의 활약으로 세계 주요 도시마다 한글을 새긴 티셔츠를 입은 현지인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샤넬의 수석디자이너였던 칼 라거펠트는 생전에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글자"라고 극찬했다. 거장의 안목대로 유럽 패션계는 최근 한글의 조형미를 패션 아이템으로 주목하고 있다. 한글이 없었다면 한류열풍은 죄다 한자로 알려졌을 테고, 한류가 아닌 중국몽의 지류 쯤으로 전락했을지 모를 일이니 모골이 송연하다.
언어와 문자는 민족에게 공동체의 동질성과 문화의 정체성을 부여한다. 한마디로 민족의 혼과 얼이 말과 글, 모국어에 담겨있다. 한민족은 반만년 같은 말을 썼지만 문자를 빌려쓰는 바람에 중국 문화에 종속됐다. 한민족이 문자독립으로 동질성과 정체성을 비로소 완성할 수 있었던 건 전적으로 세종대왕의 한글창제 덕분이다.
한국인의 얼과 혼이 담긴 한글, 훈민정음이 최근 볼썽사나운 논란에 휩싸였다.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을 불법적으로 점유한 채 국가기관인 법원과 문화재청을 농락중인 개인 소장자 때문이다. 지난 15일 "상주본은 국가 소유"라는 대법원 판결이 났지만, 소장자인 배익기씨가 1천억원을 요구하며 국가반환을 거부하고 있다. 배씨의 몽니는 해괴망측하기 짝이 없다.
1천억원의 근거는 재판과정에서 상주본의 가치가 1조원이라는 감정가에서 비롯된 모양이다. 배씨는 10% 가격에 넘겨주면 싼 거 아니냐는 식인데 말이 안된다. 1조원 감정가는 가격을 매길 수 없는 무가지보(無價之寶)라는 평가로 해석해야 이성적이다. 괘씸한 건 국가소유 보물을 빼돌리고 천문학적 흥정을 벌이는 심보다. 문화재청은 배씨의 몽니로 나라의 보물을 찾지 못할까봐 법적 대응도 자제한 채 그를 설득하느라 진땀을 흘리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간송 전형필이 일제와 6·25전쟁 중에도 지켜낸 '안동본'과 문제의 '상주본' 두권 뿐이다. "나랏말싸미 듕귁에달아···"를 담고 있는 훈민정음 언해본에 앞서 세종 당대에 발간된 한글창제의 원리를 담은 국보 중의 국보다. 이를 갖고 나라와 국민을 희롱하다니 가당치 않다. 배씨에게 국민성금을 거둬주고 박물관 관장을 시켜주겠다는 상주시의 제안은 코미디다. 배씨에 대한 국가의 대응이 추상 같아야 한다. 마침 한글창제 과정을 담은 사극 영화 '나랏말싸미'가 내일 개봉한다니 배씨의 몽니가 새삼 여론의 주목을 받게 됐다.
/ 윤인수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