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 연장선 1·2공구 4개역 예정
통신·소방업체 연대 '분리 촉구'
본부 "일괄 추진해야 지연 방지"
인천시가 서울지하철 7호선 청라 연장선 일부 구간 역사 건설공사를 턴키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해 인천 지역 전기공사 업체들이 반발하고 있다.
23일 인천 전기공사 업계에 따르면 인천시 도시철도건설본부(이하 본부)는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선 1·2공구에 해당하는 4개 역사 건설사업을 턴키 방식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턴키는 업체(컨소시엄)가 설계와 시공을 일괄 시행하는 방식이다.
업계는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선 1·2공구 4개 역사 건설사업을 분리 발주해달라고 본부에 요구하고 있다. 토목·건축, 전기·통신 등 분야별로 공사를 발주해야 공사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턴키 방식은 구조상 대기업이 독식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며 "전기·통신, 소방 등 전문업체는 하도급 형식으로 공사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턴키 방식으로 발주하면, 대기업 협력업체들이 최저가로 전기·통신 공사를 맡게 된다"며 "제대로 된 공사비 확보가 어려워 부실시공 등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우려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조달청이 발주한 턴키 방식 공사의 낙찰가율은 99.6%로, 분리 발주보다 11.5~18.4%포인트 높다.
분리 발주 방식이 예산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 7호선 석남 연장선, 인천지하철 1호선 송도 연장선은 모든 공구에서 전기공사를 분리 발주했다고 한다.
본부는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선 1·2공구 역사 건설공사 특성상 분리 발주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본부 관계자는 "해당 공구는 도로 폭이 협소해 주변 건축물의 간섭이 심하거나 시티타워 건설로 (공사 도중) 설계 변경이 필요한 난도가 높은 구간"이라고 했다.
또 "지하철 역사는 전기 용량·시설물 배치가 토목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이 있다"며 "설계와 시공을 일괄 추진해야 설계 변경 등으로 인한 공사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고 했다.
1·2공구 역사 건설사업 방식은 인천시 지방건설심의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될 예정이며, 전기공사 업계는 통신·소방 업계와 연대해 분리 발주를 강력히 촉구할 계획이다.
서울 7호선 청라 연장선 사업은 인천 서구 석남동에서 공항철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10.7㎞를 연장하고 6개 역사를 건설하는 것으로, 총사업비는 1조2천977억원에 달한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