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5년 매립종료 최종결정
道 소각시설 대부분 노후됐는데…
오산·양주·포천등 주민 결사반대
인천시가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를 2025년 종료해 경기지역과 서울지역의 쓰레기를 받지 않기로 25일 최종 결정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민들은 '쓰레기 산'의 역습(2019년 7월 25일자 1·3면 보도)을 피할 수 없게 될 전망인데다, 생활 쓰레기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소각장도 수명이 다해 비상이다.
수리나 증축·신설이 시급한데도, '우리 집 마당에는 안 된다(Not In My Back Yard·님비)'를 앞세운 주민 반대 목소리에 소각장 신·증축이 표류 중이기 때문이다.
25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경기도 내엔 26개 소각장이 있고, 평균 132만 t의 쓰레기를 소각하고 있다고 '2017 전국폐기물발생및처리현황'에서 집계했다.
하지만 도내 소각시설 대부분이 노후화된 상태다.
환경부 규정에 따르면 시설 내구연한은 15년이고, 외부 건물은 30년이다.
이런 가운데 광명시의 자원회수시설은 1999년에 설치돼 20년째 가동 중이고, 구리시 자원회수시설은 올해로 18년째 가동 중인데 내부 기계가 노후화돼 1년 중 40일 가량을 시설 보수·점검에 쏟고 있다.
의정부는 2001년, 양주시는 2004년, 안성시는 2005년, 포천시는 2009년 각각 가동을 시작했다.
자원회수시설에 근무하는 한 관계자는 "소각시설이 사실상 24시간 돌아가는 기계 부품으로 대부분 소모품인데다 급속도로 노후화되고 있다"며 "강도높은 보수·점검을 통해 관리하지만 언제 고장나도 이상하지 않은 환경에 놓여 증축이나 신설 등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소각시설 증축이나 신설안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좌초하고 있다.
오산시 초평동에 자원순환시설이 계획되고 허가도 났지만, 인근 주민들은 25일 집회까지 열며 강력 반발에 나섰다. 의정부시의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이전 건립 사업도 일부 주민뿐만 아니라, 양주·포천주민들도 결사반대를 외치는 상황이다.
구리시도 시설 노후화 등을 이유로 대수선이나 이전 증축 계획을 세우려 했지만 주민 반대로 쉽지 않다. 지자체 담당자들은 "사용 연한이 끝나가면 수리하는 게 아니라 우리 지역에서 나가라는 목소리도 곳곳에서 나오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이를 방증하듯 최근 5년간 새로 만들어진 소각장은 '0'개다.
이에 정부도 발 벗고 나섰다. 환경부는 최근 국가산업단지에 권역별로 대규모 자원회수시설을 만든다는 구상으로 장소와 규모, 운영 방식 등에 대한 연구 용역을 의뢰했다.
/김태성·이원근·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