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부족' 앞자리 3자리로 변경
道·국토부 공공시설등 합동 점검
도내 공공시설 완료율 17% 저조
주차장 요금정산 등 혼란 불가피

경기도는 승용차번호판 체계 개편을 앞두고 '차량번호인식시스템' 업데이트를 독려하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7월 승용차 번호가 부족해지자 자가용과 렌터카 등 번호판 앞자리를 2자리에서 3자리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도와 국토부는 오는 9월부터 시행하는 승용차 번호판 체계 개편을 앞두고 지난 25~26일 광명, 성남, 남양주 등 도내 주요 시·군 관공서와 대형병원, 쇼핑몰, 아파트, 공공주차장 등을 대상으로 차량번호인식시스템 업데이트 합동 현장점검을 했다.

도내 차량번호 인식시스템을 운영하는 주요 시설물은 지난 19일 기준 5천907곳으로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다.

공공시설 3천767곳은 업데이트 용역 계약을 체결한 단계인 착수율이 93%, 업데이트를 완료한 완료율이 17%로 나타났다. 하지만 병원, 쇼핑몰, 공동주택 아파트, 민간 주차장 등 민간시설 2천140곳은 착수율이 49%, 완료율이 13%로 저조하다.

정부는 새로운 번호판을 부착하는 차량은 매월 전국에서 15만~16만대, 경기도 3만~4만대 수준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업데이트가 늦어지면 신규 번호판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교통정체 등 혼란을 빚을 전망이다.

업계는 업데이트를 하려면 출입구 차량번호인식기와 주차관리서버 등을 보완하고 오차 보정 작업을 하는 것까지 2~3주 시간이 필요한데, 주문이 폭주해 제때 작업을 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규모가 큰 시설의 경우 수천만원이 들지만 정부 지원이 없어 일부 아파트 입주자대표협의회는 일방적인 업데이트 요구에 반발하는 모양새다.

수원 광교신도시의 한 아파트협의회장은 "신규차량 번호판 프로그램 수정 견적으로 300만원이 나왔다"며 "승용차번호판 개편으로 업체만 배불리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국토부에서도 국비 지원을 하지 않기로 하고 자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는 방침이라서 도나 각 시·군도 국토부 방침에 따라 지원 예산은 편성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조영상·손성배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