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jpg
휴일이자 말복인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강공원에 황화 코스모스 뒤로 푸른하늘이 펼쳐저 있다. /연합뉴스
 

이 시각 날씨는 전국이 구름많으나, 제주도와 전남에는 9호 태풍 '레끼마'의 가장자리에서 만들어진 구름대의 영향으로 비가 오는 곳이 있으며, 특히 제주도산지와 전남도서지역에는 시간당 10~20mm의 강한 비가 오는 곳이 있다.

오늘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중부서해안과 전라도, 경남서부, 제주도는 비가 오겠고, 밤에는 강원영서와 그 밖의 경상도를 제외한 대부분 지역으로 비가 확대되겠다. 동풍의 영향으로 강원동해안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다.

내일도 태풍 '레끼마'의 가장자리에서 만들어진 구름대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비가 오겠으나, 강원남부와 충북, 경북은 새벽(06시)에, 충남남부와 전라도, 제주도, 경남서부는 오후(18시)에 대부분 그치겠다.

특히, 제주도산지를 중심으로 내일까지 시간당 30mm 이상의 강한 비와 함께 총 누적강수량이 300mm 이상 되는 매우 많은 비가 오는 곳이 있겠으니, 비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기 바란다고 기상청은 당부했다.

내일 아침 기온은 23~27도(오늘 22~28도, 평년 21~24도), 낮 기온은 29~34도(평년 28~32도)가 되겠다.

폭염특보가 발효 중인 대부분 전국(서해안과 동해안, 일부 내륙 제외)에는 낮 기온이 33도 내외(일부 충북과 경북내륙 35도 이상) 오르면서 매우 무덥겠고, 밤사이에도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많아 불쾌지수가 매우 높겠다.

태풍 '레끼마'가 중국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면서 북태평양고기압과의 사이에서 기압차가 커짐에 따라, 강풍특보가 발효 중인 서해안과 전남남해안, 제주도에는 내일까지 평균 풍속 50~65km/h(14~18m/s), 최대순간풍속 75km/h(20m/s) 이상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부는 곳이 있겠고, 그 밖의 지역에도 바람이 30~45km/h(8~13m/s)로 강하게 부는 곳이 많겠다.

태풍특보가 발효 중인 서해남부먼바다, 풍랑특보가 발효 중인 제주도전해상과 남해전해상, 서해중부전해상에는 내일(12일, 서해중부전해상은 모레까지)까지 바람이 45~75km/h(12~20m/s)로 매우 강하게 불고, 물결이 3~8m로 매우 높게 일겠다.

강한 비와 바람, 높은 물결로 인해 서해먼바다 도서지역의 여객선 운항과 제주도를 비롯한 서쪽지방의 항공기 운항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

 

* 예상 강수량(11일부터 13일 낮(12시)까지)
 

- 제주도(12일까지), 서해5도, 북한: 40~100mm(많은 곳 제주도산지 200mm 이상, 그 밖의 지역 150mm 이상)
 

- 서울.경기도, 강원영서북부, 충남서부, 전북서부, 전남, 지리산부근: 20~60mm(많은 곳 경기북부, 전남, 지리산 부근 80mm 이상)
 

- 그 밖의 전국(경상도는 12일까지): 5~40mm 

 

[기상특보 현황 : 2019년 08월 11일 20시 00분 이후 (2019년 08월 11일 16시 00분 발표)]


o 태풍경보 : 서해남부남쪽먼바다, 서해남부북쪽먼바다
 

o 강풍경보 : 흑산도.홍도
 

o 강풍주의보 : 인천, 제주도, 전라남도(거문도.초도, 무안, 장흥, 진도, 신안(흑산면제외), 목포, 영광, 함평, 완도, 해남, 강진, 순천, 광양, 여수, 보성, 고흥), 충청남도(당진, 서천, 홍성, 보령, 서산, 태안), 서해5도, 경기도(안산, 화성, 평택, 김포, 시흥), 전라북도(김제, 군산, 부안, 고창)
 

o 풍랑경보 : 제주도남쪽먼바다
 

o 풍랑주의보 : 제주도앞바다, 남해서부전해상, 남해동부먼바다, 남해동부앞바다(거제시동부앞바다, 경남서부남해앞바다, 부산앞바다), 서해중부전해상, 서해남부앞바다
 

o 호우경보 : 제주도(제주도산지, 제주도남부)
 

o 호우주의보 : 제주도(제주도동부, 제주도북부, 제주도서부)
 

o 폭염경보 : 대구, 경상북도(문경, 의성, 예천, 상주, 김천, 칠곡, 성주, 고령, 군위, 구미), 충청북도
 

o 폭염주의보 : 세종, 부산, 광주, 대전, 서울, 경상남도(진주, 양산, 사천, 합천, 창녕, 함안, 의령, 밀양, 김해, 창원), 경상북도(경북북동산지, 영양평지, 봉화평지, 청도, 경주, 포항, 청송, 영주, 안동, 경산, 영천), 전라남도(순천, 광양), 충청남도(계룡, 예산, 청양, 부여, 금산, 논산, 아산, 공주, 천안), 강원도(강원북부산지, 양구평지, 정선평지, 평창평지, 홍천평지, 인제평지, 횡성, 춘천, 화천, 철원, 원주, 영월), 경기도(여주, 군포, 성남, 가평, 광명, 양평, 광주, 안성, 이천, 용인, 하남, 의왕, 오산, 남양주, 구리, 안양, 수원, 의정부, 양주, 고양, 포천, 동두천, 부천, 과천), 전라북도(전주, 정읍, 익산, 임실, 완주, 김제, 군산, 부안)

/양형종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