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00301000273700011661

1990년대 이후 국가권력에 대한 견제와 감시 및 비판기능을 겸비한 시민단체가 크게 늘었다. 민주화 영향이 컸다. 모두 시민에 의해 자발적으로 조직된 비영리, 비정부, 비정당 단체다. 국가권력이나 특정정당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오롯이 국민권익을 위해 사회 각 분야에서 활발한 운동을 전개하면서 어느새 하나의 권력이 됐다. 부작용도 커졌다. 이념적인 편향성과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시민단체 활동을 정치기반으로 삼으려는 정치 지망생도 크게 늘었다.

우리나라 대표 사회단체인 참여연대는 권력을 감시하고, 사회 개혁을 위해 1994년 9월 10일 설립했다. 뜻을 함께하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연대해 정책과 대안을 제시하며 참여 민주사회 건설이 목적이다. 초기에는 대주주의 횡포에 맞서 소액주주 운동을 벌이는 등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그러나 폐쇄적인 조직문화, 특유의 정파성과 이념적 편향성에 소수 엘리트가 주축이 돼 권력과 유착하면서 '시민 없는 시민단체'라는 지적도 받았다. 참여연대 창립 이후 전·현직 임원 400여명 중 3분의 1에 달하는 150여명이 청와대와 정부 고위직, 산하 각종 위원회 위원 등의 자리를 꿰차 '신 권력연대'라는 소리를 들은 것도 그래서다.

조국 법무부 장관은 2000~2002년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부소장을 맡았다. 2004~2005년까지는 사법감시센터 소장을, 2007~2008년에는 참여연대 운영위원회 부위원장까지 지냈다. 그래서인지 참여연대는 이번 조국 사태로 내놓은 7번의 논평 중 도덕성에 대한 직접적인 비판은 단 한 번도 하지 않아 '내 식구 감싼다'는 비난에 직면했다. 이런 와중에 김경율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소장이 "조국 펀드가 권력형 범죄로 비화할 수 있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하자, 김 소장을 징계위에 넘기는 일이 벌어졌다.

김 소장은 조 장관을 옹호하는 시민사회단체 소속 회원들을 향해서도 "구역질이 난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참여연대는 "김 소장 개인적인 견해일 뿐"이라며 입을 닫고 있다. 민낯이 고스란히 드러난 참여연대 입장에선 이번 일이 부끄럽고 창피하고 난감할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상에는 김 소장을 지지하고 응원하는 시민들이 줄을 잇고 있다. 참여연대에 기대하는 바가 그만큼 크기 때문일 것이다. 참여연대가 초심으로 돌아가 모두에게 사랑받는 시민단체로 거듭나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이영재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