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세 커지는데 공동방역 '안갯속'
李지사 "극한 대응… 예산 체크"
농장주 반발·막대한 비용이 변수
북한 유입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 아프리카 돼지열병(ASF)과 관련, 북측과의 공동 방역에 대한 물꼬를 틀 수 있을 지 기대감을 모았던 북·미 실무협상(9월27일자 2면 보도)이 결렬되면서 공동 방역 성사 여부가 다시 안갯속에 접어들었다.
돼지열병 확산세는 커지고 있지만 공동 방역 추진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자, 관계 당국은 모든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항공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이재명 도지사도 파주·김포를 넘어 접경지역인 연천·포천에서 기르는 돼지들까지 아예 모두 수매하는 특단의 방안을 내놓기까지 했다.
돼지열병에 대한 공동 방역 문제와 관련, 우리 정부 요청에 대한 북측의 답은 여전히 없는 상황이다.
북한의 태도가 관건인 만큼 북·미 비핵화 협상이 잘돼 남북 관계에 다시 훈풍이 불면 방역을 비롯한 접경지역의 공동 관리에도 물꼬가 트일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협상이 결렬되면서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공동 방역이 요원해졌지만 북한으로부터의 유입 위험은 여전한 만큼 국방부는 DMZ를 포함한 모든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헬기를 동원해 방역을 진행하고 있다.
와중에 도는 앞서 사육 중인 모든 돼지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수매가 결정된 파주·김포처럼, 북한과 접경을 마주한 연천·포천도 동일하게 처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지사는 지난 4일 도 공무원들에게 "현장을 가보니 정말 간단치가 않다. 경기북부에 위험이 될 것을 완전히 비워버렸으면 좋겠다"며 "어차피 한 군데에 발병하면 3㎞ 이내 전부를 살처분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느니 차라리 수매하고 보상을 해드리는 게 낫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확한 역학 조사 결과는 안나왔지만 북쪽 영향을 받지 않나 싶어서 경계지역을 완전히 소개하는 방법을 강구토록 할 것"이라며 "김포, 파주, 연천, 포천 등 북부라인 일대는 일정 기간 돼지 사육을 안 하는 것으로 극한 대응을 하는 게 어떨까 싶다. 300마리 이하는 물론, 이상에 대해서도 예산이 얼마나 드는지 체크해봐라"고 주문했다.
다만 농장주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것은 물론, 보상비가 막대할 것으로 예측되는 점 등이 변수로 거론된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북미협상 결렬… 경기도, 포천·연천까지 수매 '고민'
입력 2019-10-06 21:06
수정 2019-11-21 19:4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0-07 1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