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기후·녹지' 주제로 머리맞대기
낙후지 활력불어넣기 정책등 시민 공유도
'환경·인간 공존하는 지속발전' 도약 기대
고양시뿐 아니라 현시점에서 세계적으로도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는 '도시재생'과 '기후·환경'을 주제로, 첫날엔 도시재생 전략지 등 현장에서, 둘째 날엔 킨텍스에서 국내외 전문 석학들이 모여 다양한 도시문제를 주제로 심층적으로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올해 처음 열리는 고양도시포럼은 고양형 도시재생 방향을 고민하고 환경과 도시, 인간이 공존하는 지속적인 도시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고양시를 특색 있는 도시로 활성화하고, 친환경 정책 노하우를 세계인들과 공유하는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따뜻한 도시 구현'을 비전으로 정했다. 환경문제는 더 이상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에는 매년 봄 중금속으로 오염된 누런 모래가 바람을 타고 중국에서 날아들고 있고, 아프리카 초원은 해가 거듭할수록 사막화로 인해 물과 식량이 부족해져가는 매우 심각한 단계로 빠져들고 있다.
태평양의 작은 섬들은 지구 온난화로 녹은 빙하에 잠겨가고, 지구의 허파인 아마존 밀림이 파괴되어 점차 인간이 숨쉬기조차 힘들어질 것이라는 추측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 민선7기 고양시에서는 '파리기후변화협약을 준수하는 환경정책'을 추진하고, '2018 고양환경 백서'를 발간하여 환경보전계획에 따른 환경시책의 향후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전국 최초로 나무권리선언을 선포하고, 장항습지의 람사르 등록을 추진하면서 한강 생태·역사·문화관광벨트 사업과도 연계해 새로운 생태관광자원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에너지자립마을을 조성하고 공공시설에도 태양광발전시설을 설치하는 등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과제들을 해결해나가며 태양광이 고양시민과 더욱 가까워지도록 다양한 환경정책들도 펼쳐나가고 있다.
'도시재생'은 기계적 대량생산 산업에서 최근 신산업(전자공학·하이테크·IT산업·바이오산업)으로 변화되는 산업구조와 신도시 위주의 도시 확장으로 인해 낙후된 기존 도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경제적·사회적·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도시사업을 의미한다.
과거 '일산신도시'로 대표되던 고양시는 올해 3월 능곡까지 정부의 도시재생 사업지(일명 뉴딜사업)로 선정되면서, 전국에서 가장 많은 5개의 뉴딜사업 지역을 가진 기초자치단체가 됐다.
마을커뮤니티센터·구 역사·소금창고로 사용하던 농협 창고 등이 시민과 가까운 문화·커뮤니티 인프라로 신설 또는 리모델링되고 있다.
시민 안전에 우선을 두고 노후 엘리베이터와 노후 변압기 교체비용을 시가 적극 나서서 지원하고, 현재 토지지가가 2천600억원에 상당하는 킨텍스 내 C4부지를 후대를 위한 도시 노후화에 대비(1기 신도시 리모델링 등)해 쓰일 수 있도록 조례로 만드는 등 민선7기 고양시는 도시의 30년 후를 내다보는 다양한 정책들을 펴고 있다.
이와 같은 고양시의 미래를 내다보는 환경과 도시재생에 대한 정책들이 '2019 고양도시포럼'으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양시 땅의 절반가량이 30년 이상 된 원도심 지역이지만, 당장 허물고 또 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우리는 또 다른 30년을 어떻게 되살려 쓸 것이냐를 본격적으로 고민하고 차근차근 준비해나가야 한다.
도시재생은 '재생' 그 자체를 넘어 '재생력'을 키우는 과정으로, 지역 고유의 역사성과 사회성은 물론 기후와 녹지라는 미래 가치까지도 고루 담아내야 한다.
이번 '2019 고양도시포럼'에서 도시재생·환경 석학과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데 모여 균형 잡힌 도시발전에 대한 담론을 나누고 시민들과 공유하며, 이 과정 자체를 하나의 고양시 브랜드로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또한 민선7기 고양시는 향후에도 매년 도시포럼을 개최해 다양한 도시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30년 후의 도시 미래를 끈질기게 묻고 이에 대한 해답을 적극적으로 탐구해 나갈 방침이다.
/이춘표 고양시 제1부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