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빠진 인천 지역 '도시형소공인'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선 인천시가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춘산 교수는 '인천 지역 도시형소공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와 이같이 주장했다. 인천시와 인천소상공인서민금융복지지원센터가 공동 주최한 이번 토론회는 지난달 29일 제물포스마트타운 대강당에서 열렸다.

김 교수에 따르면 인천에는 2만129개의 소공인 업체가 있으며, 이곳에선 7만282명이 일하고 있다. 도시형소공인은 남동구 간석3동, 연수구 송도3동, 동구 송림4동, 부평구 청천1동 일대에 밀집해 있다.

도시형소공인은 노동집약도가 높고 숙련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종사자 10명 미만의 업체를 말한다. 인천 지역 도시형소공인의 40% 정도가 부품·소재 제작 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인천에는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가 없어 해당 업체들은 자금 지원이나 인프라 구축 등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는 소공인들이 몰려있는 공장지대를 산업 클러스터로 전환하기 위해 기반시설 조성을 지원하는 곳으로, 전국 21곳이 지정돼 있다.

집적지구로 선정되면 공동 기반시설 구축 비용을 정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으며, 마케팅과 기술 개발 등 소공인 지원사업 공모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다.

김 교수는 소공인을 지원하는 소공인특화지원센터가 인천 송도국제도시 1곳에만 있는 점도 지적했다.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서울 9개, 경기 8개, 부산 3개 등 전국에 34개가 있다.

김 교수는 "인천 지역 2만명의 소공인을 인천시 자체 예산만으로 지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인천시는 소공인이 공동 기반시설 등 인프라 구축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인천에 소공인특화지원센터가 더 생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도시형소공인 맞춤형 지원 정책 개발, 도시형소공인 육성을 위한 전문 조직 체계 마련 등도 인천시에 주문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도시형소공인이 고령화하고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됐다.

김 교수가 지난 4월부터 6개월간 인천 지역 도시형소공인 400여 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표자 평균 나이는 54.3세에 달했다.

토론자로 나온 인천소공인협회 오승섭 회장은 "청년 인력 유입이 줄면서 종사자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며 "경영 노하우와 숙련 기술 전수가 중단되는 등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