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0301000173200008341

1970년 11월 25일. 일본 육상 자위대 동부지역 건물 옥상에서 일장기가 그려진 머리띠를 한 군복 입은 사내가 허공을 향해 주먹을 불끈 쥐며 일장 연설을 하고 있었다. "지금 일본 혼을 유지하는 것은 자위대뿐이다. 일본을 지킨다는 것은 피와 문화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너희는 사무라이다. 자신을 부정하는 헌법을 왜 지키고 있는 것인가. 나를 따르는 자는 없는가." 45세의 극우 소설가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다.

'일왕을 보호하는 방패'라는 의미의 민병대 '방패회' 대원 4명과 함께 난입해 사령관을 인질로 잡고 1천여명의 자위대 대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그는 이렇게 '군국주의 부활'을 외쳤다. 하지만 자위대원들의 야유와 비난이 그에게 쏟아졌다. 그러자 미시마는 '셋푸쿠'라는 할복에 이어 옆에서 목을 쳐주는 전통적인 사무라이 의식으로 목숨을 끊었다. 실제로는 겁을 먹어 배를 찌른 상처는 겨우 10㎝였고 목을 베기로 한 자는 칼을 제대로 다루지 못해 세 번이나 내려쳤다고 한다.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추천으로 1949년 동성연애자의 내밀한 풍경을 다룬 '가면의 고백'으로 등단한 미시마는 '일본적 미의식을 바탕으로 글을 쓴 전후 최고의 작가'라는 평을 들었다. 특히 그를 유명하게 한 건 56년 작 '금각사(金閣寺)'다. 전후 일본의 황폐함을 비극적인 아름다움으로 한 단계 끌어 올렸다는 평가를 받은 이 작품으로 국내에서도 많은 팬을 확보했다. 하지만 극단적인 정치성향의 '천황 주의자'로 바뀌면서 그를 애지중지한 가와바타 야스나리조차 그의 변신을 혼란스러워했다고 전해진다.

미시마 유키오의 사위 도미타 고지가 신임 주한 일본대사로 3일 부임했다. 극우 작가의 가족이라서 극우 성향일 거라는 우려도 있지만, 실제로는 전임인 나카미네 야스마사 대사보다는 더 유연한 입장이란 평가가 나온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9년 주한 일본대사관 참사관과 공사로 근무한 경험도 있다. 또한 일본 북미국장을 지내는 등 대표적인 미국통이기도 해 한일관계를 미국의 시각으로도 이해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근 들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종료가 연기되고 한·일 간 수출 규제 관련 국장급 협의를 진행하기로 하는 등 한·일 관계가 조정 국면을 보이고 있다. 고지 대사의 부임으로 양국이 화해하고 관계가 더욱 성숙해지길 바랄 뿐이다.

/이영재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