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획기적 문맹률 낮춘
문자 보급 '브나로드운동'
1933년 동아일보 발행 소책자
'문맹타파가' 등 담은 대중교재
'학생계몽대용'이란 부제 수록


전문가 조성면2
조성면 문학평론가·수원문화재단 전통교육팀장
한글은 기적의 언어요, 동아시아 사상과 인문정신의 총화다. 에스페란토 같은 현대 인공어를 제외하고 창제자, 반포일, 글자의 원리가 모두 밝혀져 있는 거의 유일한 언어가 한글이다. '한글'은 반포일 기준으로 환산하면 573년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한글이란 이름이 부여된 것은 1910년으로 백세 상수(上壽)를 넘겼다. 이전에는 '훈민정음', '언문' 등으로 불렸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말 그대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또는 '바른 소리를 백성에게 가르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정음'이란 말은 우리글, 우리말에 대한 분명한 자주의식의 표현이지만 당시 중구난방으로 통일돼 있지 않은 한자음을 바르게 표기하기 위한 목적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볼 수도 있고, 일각에서의 지적대로 '훈민' 곧 '백성을 가르친다'는 말을 '애민정신'으로 또는 백성을 시혜의 대상을 보는 제왕적 관점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다. 해석은 자유지만 한글이 디지털시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잘 어울리는 과학적 언어이며 나라와 민족의 근간이라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그 중요성과 가치가 큰 만큼 '한글'은 깊은 사연과 많은 일화를 갖고 있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이용준과 국문학자 김태준을 거쳐 간송 전형필에게 전해졌음은 잘 알려져 있다. 간송이 천태산인 김태준이 생각했던 예상가의 10배, 당시 기와집 열 채가 넘는 거액을 치르고 '훈민정음 해례본'을 구입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오백년여 동안 '훈민정음'은 백성들을 잘 '훈민'하지 못했다. 1930년대 당시 농민들의 문맹률이 무려 90%에 이를 정도였다. 이 문맹률을 획기적으로 낮춘 민족계몽운동, 문자보급운동이 바로 '브나로드운동'이다. 브나로드운동은 억압적 차르 체제에 도전하기 위한 러시아 지식인들의 운동, 말 그대로 '민중 속으로 뛰어들자'는 다소 이상주의적인 19세기 농업사회주의(agrarian socialism) 운동이었다. 우리의 브나로드운동은 1931년~34년 사이 동아일보사 주도도 문맹퇴치를 위한 대대적인 농촌계몽운동, 문자보급운동으로 전개됐다. 브나로드운동은 일제의 탄압으로 '신간회'가 해체되는 등 민족운동이 침체된 시기에 등장한 거대한 운동이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동아일보사의 경영난 즉, 저조한 신문판매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독자 배가 운동이었다는 측면도 있다. 투르게네프의 '처녀지'(1877)와 심훈의 '상록수'(1935) 등이 각국의 브나로드운동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다.

'한글공부'는 1933년 동아일보사에서 발행한 문자보급운동 교재로 20여 쪽의 소책자다. 한글 자모에 '문맹타파가', '속담', '지리', '역사' 등을 담은 대중교육 교재로 표지에 '학생계몽대용(學生啓蒙隊用)'이란 부제가 달려 있다. 저작자는 국어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환산 이윤재(桓山, 1888~1943)다. 환산이란 호는 환웅(桓雄)의 후예라는 뜻이며, 그는 옥고와 생활고 속에서도 '성웅 이순신'(1931), '문예독본'(1932), 유고작인 '표준한글사전'(1954)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문예독본'은 해방 직후부터 한동안 고등교육기관의 문학교재로 사용됐다.

'한글공부'와 유사한 '한글원본'이 국가의 등록문화재 484-1호, 484-2호로 지정돼 있다. 필자는 사본으로 추정되는 '한글공부'(동아일보사 간, 1933년 8월)를 소장하고 있다. 헌책방, 고서점을 꽤 오랫동안 드나들었는데, 그 긴 세월 동안 처음 본 책이었다. 환호작약하며 십년 전 당일 밤늦게까지 이 소책자를 쓰다듬고 만지며 행복해했던 기억이 지금도 새롭다.

/조성면 문학평론가·수원문화재단 전통교육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