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20901000522500026551

청라 접해 "첨단기업 유치" 목소리
반면 "나대지 아냐 묶음개발 곤란"
관리공단은 '일반→준공업지 변경'
기숙사등 지원시설로 활성화 주장

경제청, 내년 하반기 결과 토대 추진
이전등 '분분' 업체·지역민 의견수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최근 '서부지방산업단지(이하 서부산단) 일원 경제자유구역 지정 기본구상 및 타당성 검토 용역'에 착수했다.

이는 서부산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게 좋은지, 산업단지 구조 고도화 사업으로 정비하는 것이 적합한지 검토하는 용역이다. 결과는 내년 하반기에 나온다.

하지만 서부산단 입주 업체 등 현장은 혼란스러운 상태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하겠다는 것인지, 구조 고도화 사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인지 아직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특히, 서부산단관리공단은 경제자유구역 지정이나 구조 고도화 사업보다 준공업 지역으로 용도를 변경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인천경제청의 용역 추진 취지와 예상되는 문제, 현장 의견 등을 정리했다. → 위치도 참조

■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에서 '최적의 정비 방안 마련'으로 선회


인천경제청은 2017년 11월 서부산단(인천 서구 호두산로 92 일원 115만9천㎡)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수립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라국제도시)과 접한 곳에 노후 산단(서부산단)이 있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은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 이유로 '서부산단 이전을 요구하는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다 인천경제청 입장이 '경제자유구역 지정 추진'에서 '최적의 정비 방안 마련'으로 바뀐다. 서부산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이다.

서부산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해 첨단 기업을 유치하고 주변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반면, 나대지가 아닌 기존 산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묶어 개발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입주 업체를 다른 곳으로 이전시키려면 보상비가 많이 드는 데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려면 구체적인 투자 유치 및 혁신성장 계획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청이 입장을 선회한 이유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서부산단이 노후화됐다. 산단 주변에서 개발사업이 이뤄지고 있어 어떻게든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용역 결과에 따라 경제자유구역 지정 또는 산단 구조 고도화 등 최적의 정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관건은 서부산단 입주 업체와 주민 의견


서부산단 입주 업체와 청라 등 인근 주민들의 의견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부산단에는 주물공장 10여 개 등 약 300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주물공장들은 한때 충남 예산에 있는 산단으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웠는데, 상당수가 사업비 문제로 이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가 있는 상태에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이들의 의견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물론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보상을 받고 나가겠다는 업체도 있다.

주민 의견도 갈린다. 서부산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개발해 주변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는 반면, 청라에 남아 있는 투자유치 용지를 개발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업체와 주민이 참여하는 간담회·토론회 개최를 주문했고, 인천경제청은 용역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업체와 주민 의견을 수렴해 나가기로 했다.

■ 서부산단관리공단 "용도 변경이 최적안"

서부산단관리공단은 땅의 용도를 일반공업지역에서 준공업지역으로 변경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입장이다. 서부산단관리공단은 자산 매각을 통해 확보한 비용으로 환경 개선 사업을 추진했다.

올 6월에는 서부산단에 지식산업센터 임대·공급업, 보관·창고업 등이 들어올 수 있도록 관리기본계획이 변경됐다.

서부산단관리공단 관계자는 "용도 변경(일반공업→준공업)을 통해 기숙사 등 지원시설 설치가 가능해지면 산단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