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이어 CJ CGV도 두손 들어
기업 공공성 활로찾기 쉽지않아
빌바오·하펜시티 등 성공 '교훈'
"상권 회복후 쇼핑몰 반대 안해"


인천 내항 재개발 사업이 공기업 LH는 물론 민간 사업자 CJ CGV의 잇따른 사업 포기로 위기를 맞고 있다.

인천시의 내항 재개발 정책이 원점부터 다시 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는 사업성과 공공성 확보 등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 하는 어려운 처지에 놓였다.

CJ CGV는 지난 12일 인천 내항 8부두 곡물 창고를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상상플랫폼' 사업 포기 의사를 인천시에 전달했다. 사업자 선정 1년여 만이다.

앞서 인천시·인천항만공사(IPA)와 사업을 추진하고 있던 LH가 지난 8월 발을 뺀 후 4개월여 만에 또다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이다.

CJ CGV와 LH는 내부 적자 문제를 사업 포기 이유로 내세웠지만, 내항 재개발 사업의 낮은 수익성 때문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시민들에게 친수 공간을 돌려주는 사업을 수익성으로만 따질 수 없지만, 사업성과 공공성을 같이 모색해야 하다 보니 기업들이 쉽사리 사업에 뛰어들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장동민 청운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상상플랫폼의 경우 민간 사업자가 20년이나 임대를 하는 것인데 시민, 주변 상인 간 의견도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조급하게 진행된 것이 사실"이라며 "독일 함부르크의 경우 항구 도시 재생을 위해 시민들이 직접 모금 활동에 참여하면서 시민들의 사랑을 받는 곳으로 거듭났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또 "그간 밑그림은 많이 그렸지만 이 시점에서 지자체, 공공기관, 시민단체가 내항이 가진 가치와 특성을 잘 살리는 방향으로 사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다시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쇠퇴한 항구 지역을 그 지역의 문화·산업·일자리·환경과 연계한 재생 사업으로 성공시킨 사례는 적지 않다.

최근 중구 하버파크호텔에서 열린 '유럽 선진 항만재생 토론회'에서 김정후 런던대 문화경제학과 교수가 제시한 해외 성공 사례를 보면 스페인 빌바오, 독일 하펜시티, 네덜란드 로테르담 등은 지역의 산업 정책과 연계해 시민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김정후 교수는 당시 토론회에서 "리버풀항의 경우 비틀즈 박물관, 노예박물관 등 랜드마크 문화 시설이 들어와 상권이 살아나면서 쇼핑몰이 생겨날 때 시민들이 반대하지 않았다"며 "제조업 중심 도시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률이 크게 증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지자체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시민단체 등 이해당사자들이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양창호 인천대 동북아물류대학원 교수(전 한국해양수산개발연구원장)는 "부산은 북항 재개발을 하면서 오랜 시간 논의를 하며 지자체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이해당사자들이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인천은 항만 기능 재배치나 재개발 방향에서 이해관계가 많이 부딪히고 있어 의견을 조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