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가스가 심한 차량 뒤를 주행할 때는 내기순환 모드로 전환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배출가스 불량 경유차의 뒤에서 주행할 경우 차량의 실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4배로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실험은 배출가스 부적합차량 중 배출가스 5등급 경유의 평균 부적합 수치를 기준으로 실시됐으며, 시내 주행 상태를 가정하고 뒤차에 유입되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5분간 측정했다.
그 결과 뒤차가 외기순환 모드로 운행하는 경우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는 165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미세먼지 농도는 5분간 평균 134.3㎍/㎥, 미세먼지 농도는 평균 133.6㎍/㎥ 상승했다.
PM2.5 예보등급에서 좋음은 일평균 농도가 0∼15㎍/㎥, 보통은 16∼35㎍/㎥, 나쁨은 36∼75㎍/㎥, 매우 나쁨은 76㎍/㎥ 이상이다.
반면 내기순환 모드의 경우에는 농도에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줄어들었다.
공단 전문가는 "배기가스가 심한 경유 차량이 언덕길을 오르는 등 엔진에 부하가 걸리는 주행을 한다면 후방 차량은 3분도 안 돼 차량 내 공기 질이 대기 초미세먼지 '매우 나쁨'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며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나 배기가스가 심한 차량 뒤에서 주행하는 경우에는 내기순환 모드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
'매연車 뒤쫓는 車' 실내 미세먼지 4배 급증
외기순환 165초만에 최고 찍어… 내기 모드 땐 농도 오히려 줄기도
입력 2019-12-26 21:06
수정 2019-12-27 15:1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12-27 7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