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2901002244700107671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아이클릭아트

오늘 수자원公 한강본부서 출범식
사고 발생시 인적·기술 지원 역할


환경부가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를 계기로 수돗물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만든 '유역수도지원센터'가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환경부는 22일 한국수자원공사 한강권역본부에서 '유역수도지원센터' 출범식을 연다고 21일 밝혔다.

환경부 장관이 설치하고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을 대행하며 한강을 비롯해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유역에 1개소씩 4개소가 설치된다.

센터는 피해 규모가 100세대 이상인 수돗물 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방자치단체 수도사업본부장의 요청에 따라 인적·기술적 지원을 하게 된다.

피해규모가 300세대 이상인 사고에는 지자체장의 요청에 따라 현장 수습 조정관을 파견하고, 필요시 센터 내 전문인력을 투입해 사고원인을 분석하고 수습활동을 지원하는 역할도 맡는다.

사고가 없는 평상시에는 수도 계획 수립, 시설 진단 등 상수도 전반에 걸친 전문 기술을 지자체에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부터는 전국에 구축되는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와 연계해 수돗물 사고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기능도 한다.

조석훈 환경부 물이용기획과장은 "수도관련 노하우를 가진 센터가 자문해 주거나 자치단체가 미리 컨설팅을 받으면 인천 사고는 재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