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면 김포 크린넷
멈춰선 폐기물 집하시설-특수폐기물 불법 투기로 고장을 일으킨 김포 양곡 택지지구 크린넷에서 운영업체 관계자가 폐기물 집하시설을 살펴보고 있다. 작동을 멈춘 투입구(오른쪽)에는 목격자를 찾는 전단이 붙어 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투입 금지 벽지·유모차 등 '불법투기' 잇따라 작년에만 40회 고장
막대한 수리비 불구 CCTV 설치 예산 탓 막막… '자정의지' 절실


김포지역 생활폐기물 자동 집하시설인 '크린넷'이 불법 폐기물 투입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상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어 시민들의 자정 의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크린넷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 추진사업으로 종량제 봉투를 기계에 투입하면 관로를 통해 집하장까지 자동 운반하는 시스템이다.

김포시에서는 지난 2008년 5월 장기동 시범지구를 시작으로 이듬해 김포한강신도시 전역과 양곡·마송 택지지구까지 설치돼 총 2천473개의 투입구가 운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12월 6일 양곡택지지구 주택가 크린넷 안에 벽지와 온수 매트, 합판 등이 버려져 관로가 막히는 사고가 발생했다.

관로수리가 쉽지 않았던 탓에 해당 투입구는 한 달 넘게 사용이 중단됐다. 시는 주변 CCTV를 확인했으나 불법 투기한 주민을 찾지 못했다.

시에 따르면 관내 불법투기로 인한 관로 막힘 사고는 주택가와 상업지구 중심으로 지난해에만 40회에 달했다. 올해 들어서도 벌써 두 차례나 관로가 막혔다.

6면 김포 크린넷1
불법투기로 막힌 관로.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

버려지는 물품은 유모차와 볼링공, 부엌칼 등 특수폐기물용 황색 종량제 마대에 따로 내놓아야 하는 것들이 주를 이룬다.

시 관계자는 "관로가 막히면 1단계로 장비를 투입하고, 그래도 안 되면 전문업체를 부르는데 한 번에 250만원의 비용을 치른다"며 "정도가 심할 때는 인력이 직접 들어가 끄집어내는 위험한 작업이 따르며 이마저 완벽하게 고쳐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불법 투기 예방을 위해 현금자동입출금기처럼 기계마다 CCTV를 달거나 투입구 카드에 사용자 등록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종종 제기되지만, 이 같은 시스템을 갖추려면 막대한 예산이 소요돼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전단을 돌려가며 계도활동을 해도 효과는 그때뿐이고, 정부에서는 자동집하시설을 더는 확대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어서 국가 차원의 해결책을 기대하기도 힘든 상황"이라며 "결국 시민들 스스로 준법의식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