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중간재 확보 차질 우려
정부 차원 가이드라인 있어야
코로나-19(신종 코로나) 사태가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한국 중소기업의 핵심 부품 생산·수출 역량 강화를 지원해야 한다는 전문기관 의견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12일 내놓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내 조업 단축 ▲중국 수출 둔화 ▲중국의 해외관광 위축 ▲중국 내 서비스업 감소에 의한 내수 둔화 등 크게 네 가지다.
한국의 대(對)중국 수입에서 후베이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1.0%(2018년 기준)로 미미하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조업 단축 지역이 산둥성 등 주요 자동차 부품 수출 지역으로 확대되지 않으면, 자동차 부품 공급 차질로 인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중국 내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면 한국 수출에 일정 부분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대중국 중간재 의존도가 높은 컴퓨터·전자·광학, 전기기기, 금속가공, 운송기기, 기계·장비, 자동차·트레일러 등 한국의 주요 수출산업이 중간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중간재 수입에서 중국의 비중은 32.5%(2019년 기준)다.
관광산업 분야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1월 한국 방문 외국인 중 중국인 비중은 34.4%로, 2003년 10.8%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2018년 기준 한국 여행 수입(국제수지 기준)에서 중국인 비중은 47.6%를 기록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감소할 경우 화장품·유통업 등 쇼핑 관련 업종, 숙박 및 음식점업 등의 매출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이 예상된다.
KIEP는 보고서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은 단기간에 그칠 가능성이 높지만, 장기화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정부 차원의 사업지속계획(BCP·Business Continuity Plan)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며 "한국 중소기업이 핵심 및 부가가치가 높은 부품을 생산·수출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또 "단기적 손해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애로 사항을 파악해 이를 지원하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BCP는 코로나-19와 같은 예기치 못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핵심 업무 기능을 지속하는 환경을 조성해 기업의 가치를 최대화하는 것을 말한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보고서]"코로나-19 사태 장기화 대비 한국中企 핵심부품 생산 지원"
입력 2020-02-12 21:09
수정 2020-02-13 13:42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2-13 1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