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메르스 사태 이듬해인 2016년 중앙 감염병 병원,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을 지정·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신종 감염병 환자 등을 전담 치료하는 전문 시설과 설비를 갖춰 감염병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취지가 컸다.
정부는 우선 국립중앙의료원을 중앙 감염병 병원으로 지정했다. 이후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예정부지에 음압격리병상 등 관련 설비를 갖출 계획이었지만 주민 반대, 행정 절차 지연 등 요인으로 설립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도 국공립 의료기관 중 3~5개를 설립·지정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 역시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당시 질병관리본부의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방안을 위한 연구결과'를 반영하겠다고 했는데, 이 연구엔 "인천과 제주도에는 많은 외국인의 출입, 그리고 공중보건 위기 시 해외동포의 대규모 입국에 대비하기 위해 (감염병) 전문병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이 교수는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이 지연되면서 감염병 확진자를 전국에 분산된 국가지정 음압병실로 여기저기 보내야 하는 상황을 안타까워했다.
정부는 '2015 메르스 백서'에서 "메르스 숙주는 낙타가 아닌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라고 한탄하며 보건의료체계 개선을 요구하는 보건의료정책 전문가들이 있다"고 메르스 유행과 같은 국가적 위기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코로나19의 유행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감염병에 의한 위기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선 의지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이 뒷받침돼야 한다.
/이현준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