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을 한 달 앞두고 정계 개편과 여야 비례정당 출범 등으로 '진영 대결' 구도가 뚜렷해지면서 중도 표심의 향방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4년 전 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 지역구 후보를 선택했던 유권자들이 이번 총선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등 거대 양당이 경합하는 수도권에서의 승패가 갈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5일 연합뉴스 자체 분석에 따르면 20대 총선 당시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민주당 후보와 새누리당(통합당 전신) 후보 간 표차가 국민의당 후보 득표수보다 적었던 지역구는 총 74곳이다.
이는 전체 수도권 선거구(122곳) 가운데 61%에 달한다.
이 중에서 민주당 당선 지역은 49곳, 새누리당 당선 지역이 23곳, 국민의당 당선 지역은 2곳이었다.
만약 국민의당 후보에게 돌아갔던 표가 민주당이나 통합당 후보에게 갔다면 승패가 뒤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울에서는 용산과 중구성동갑·을, 서대문을, 마포을, 양천을, 강서갑·을·병, 관악갑·을, 서초을, 강동갑·을 등 31곳이, 인천에서는 연수갑·을, 부평갑·을 등 9곳이 이런 지역이었다.
경기에서는 수원 갑·을, 성남 수정, 중원, 의정부갑·을, 고양을·병·정 등 34곳에서 민주당 후보와 새누리당 후보 간 표차보다 국민의당 후보 득표수가 많았다.
이 중에서도 2천표 내외로 '박빙 승부'를 벌인 곳이 총 10군데다. 서울 관악을(861표차), 인천 연수갑(214표차), 경기 남양주갑(249표차), 군포갑(726표차), 고양을(900표차) 등이다.
이번 총선에서는 당시 국민의당과 같은 강력한 '제3의 선택지'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민생당은 호남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수도권에서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안철수 대표가 새로 만든 국민의당은 지역구 후보자를 아예 내지 않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다.
정의당은 심상정 대표의 지역구인 경기 고양갑 등 수도권 일부에서 득표력이 있지만, 4년 전 국민의당처럼 '돌풍'을 일으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된 선거법 개정 이후 민주당의 범여권 비례연합정당 참여와 통합당의 미래한국당 창당으로 거대 양당 구도는 더욱 공고해진 상태다.
결국 이번 총선, 특히 수도권 지역구 상당수는 '민주당 후보 대 통합당 후보' 대결이 유력하다.
이 때문에 4년 전 국민의당에 돌아간 표를 비롯한 중도 표심을 두고 여야는 치열한 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당장 국민의당을 찍었던 표심의 향방에 대해 여야는 서로 다른 기대를 하고 있다.
민주당의 수도권 중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시 국민의당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의 다수가 호남 출신 유권자였고 일부가 무당파였다"며 "호남 유권자인 60%는 이번에 민주당을 지지할 것이고, 그 외 40%가 통합당과 기권으로 분산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통합당의 수도권 재선 의원은 "지난번 총선 때는 새누리당의 공천 파동에 실망한 중도 보수들이 안철수 세력으로 이동했던 것"이라며 "지금의 중도 보수는 문재인 정부의 무능함에 실망하고 등을 돌렸다. 당연히 정권심판론에 합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특히 4년 전 20대 총선에서 국민의당 지역구 후보를 선택했던 유권자들이 이번 총선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등 거대 양당이 경합하는 수도권에서의 승패가 갈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5일 연합뉴스 자체 분석에 따르면 20대 총선 당시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민주당 후보와 새누리당(통합당 전신) 후보 간 표차가 국민의당 후보 득표수보다 적었던 지역구는 총 74곳이다.
이는 전체 수도권 선거구(122곳) 가운데 61%에 달한다.
이 중에서 민주당 당선 지역은 49곳, 새누리당 당선 지역이 23곳, 국민의당 당선 지역은 2곳이었다.
만약 국민의당 후보에게 돌아갔던 표가 민주당이나 통합당 후보에게 갔다면 승패가 뒤바뀌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울에서는 용산과 중구성동갑·을, 서대문을, 마포을, 양천을, 강서갑·을·병, 관악갑·을, 서초을, 강동갑·을 등 31곳이, 인천에서는 연수갑·을, 부평갑·을 등 9곳이 이런 지역이었다.
경기에서는 수원 갑·을, 성남 수정, 중원, 의정부갑·을, 고양을·병·정 등 34곳에서 민주당 후보와 새누리당 후보 간 표차보다 국민의당 후보 득표수가 많았다.
이 중에서도 2천표 내외로 '박빙 승부'를 벌인 곳이 총 10군데다. 서울 관악을(861표차), 인천 연수갑(214표차), 경기 남양주갑(249표차), 군포갑(726표차), 고양을(900표차) 등이다.
이번 총선에서는 당시 국민의당과 같은 강력한 '제3의 선택지'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민생당은 호남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수도권에서의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안철수 대표가 새로 만든 국민의당은 지역구 후보자를 아예 내지 않겠다고 공언한 상황이다.
정의당은 심상정 대표의 지역구인 경기 고양갑 등 수도권 일부에서 득표력이 있지만, 4년 전 국민의당처럼 '돌풍'을 일으킬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된 선거법 개정 이후 민주당의 범여권 비례연합정당 참여와 통합당의 미래한국당 창당으로 거대 양당 구도는 더욱 공고해진 상태다.
결국 이번 총선, 특히 수도권 지역구 상당수는 '민주당 후보 대 통합당 후보' 대결이 유력하다.
이 때문에 4년 전 국민의당에 돌아간 표를 비롯한 중도 표심을 두고 여야는 치열한 싸움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당장 국민의당을 찍었던 표심의 향방에 대해 여야는 서로 다른 기대를 하고 있다.
민주당의 수도권 중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시 국민의당 후보를 지지했던 유권자의 다수가 호남 출신 유권자였고 일부가 무당파였다"며 "호남 유권자인 60%는 이번에 민주당을 지지할 것이고, 그 외 40%가 통합당과 기권으로 분산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통합당의 수도권 재선 의원은 "지난번 총선 때는 새누리당의 공천 파동에 실망한 중도 보수들이 안철수 세력으로 이동했던 것"이라며 "지금의 중도 보수는 문재인 정부의 무능함에 실망하고 등을 돌렸다. 당연히 정권심판론에 합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