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17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3차 개학 연기 관련 브리핑을 연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직접 나서 진행하는 이번 브리핑에서는 개학을 4월로 연기하는 것으로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는 이날 오전 브리핑 관련 일정을 이 같이 공지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학생 및 교직원 감염도 우려할 만한 수준이어서 추가 개학 연기 발표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오후 브리핑에서 추가 개학 연기 여부와 판단 근거, 후속 대책 등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 개학 추가 연기가 발표되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대한 개원 연기도 함께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부족한 초·중·고교 수업일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향후 학사일정 등에 대한 대책도 어떻게 내놓을지 주목된다.
교육부와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현재 코로나19 미성년 확진자는 500명을 넘어섰다. 19세 이하 확진자가 16일 0시 기준으로 517으로 가장 많고, 10∼19세 432명, 0∼9세 85명 등이다.
각 시·도 교육청과 대학에서 집계한 자료를 봐도 지난 12일 기준으로 확인된 학생 확진자가 312명, 교직원 확진자가 93명에 달한다.
방역 당국도 추가 개학 연기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학교나 어린이집, 유치원은 함께 생활하면서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 위험도가 높은 환경"이라며 "이 학생들이 집이나 지역사회로 돌아갔을 때 고령의 주민이 많은 지역사회에서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현재 개학은 3월 23일로 3주 미뤄진 상태로, 교육부가 개학을 2주 더 미뤄 4월 6일에 개학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개학이 4월 6일로 미뤄지면 우리나라 교육 사상 첫 '4월 개학'이 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직접 나서 진행하는 이번 브리핑에서는 개학을 4월로 연기하는 것으로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는 이날 오전 브리핑 관련 일정을 이 같이 공지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이어지고, 학생 및 교직원 감염도 우려할 만한 수준이어서 추가 개학 연기 발표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오후 브리핑에서 추가 개학 연기 여부와 판단 근거, 후속 대책 등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 개학 추가 연기가 발표되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대한 개원 연기도 함께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부족한 초·중·고교 수업일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향후 학사일정 등에 대한 대책도 어떻게 내놓을지 주목된다.
교육부와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현재 코로나19 미성년 확진자는 500명을 넘어섰다. 19세 이하 확진자가 16일 0시 기준으로 517으로 가장 많고, 10∼19세 432명, 0∼9세 85명 등이다.
각 시·도 교육청과 대학에서 집계한 자료를 봐도 지난 12일 기준으로 확인된 학생 확진자가 312명, 교직원 확진자가 93명에 달한다.
방역 당국도 추가 개학 연기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차관)은 전날 브리핑에서 "학교나 어린이집, 유치원은 함께 생활하면서 공간을 공유하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 위험도가 높은 환경"이라며 "이 학생들이 집이나 지역사회로 돌아갔을 때 고령의 주민이 많은 지역사회에서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현재 개학은 3월 23일로 3주 미뤄진 상태로, 교육부가 개학을 2주 더 미뤄 4월 6일에 개학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개학이 4월 6일로 미뤄지면 우리나라 교육 사상 첫 '4월 개학'이 된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