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 지인으로부터 연락이 왔다. 착한 임대인 운동에 동참하면 정부가 인하한 임대료의 50%를 지원해주는 게 사실인지 묻는 전화다.
정부의 발표 자료를 첨부해서 카카오톡으로 보내주면서 "그렇다"라고 답장했다. 지인은 자신도 어렵지만 동참해야겠다고 답했다.
은퇴 후 안정적인 노후 자금을 위해 마련한 비록 1개뿐인 상가지만 사회적 책임을 위해 부담을 나누겠다는 것이다.
사실 우리나라에선 대출을 안고 건물이나 상가를 사는 경우가 많아 일부 임대인들은 대출금 원금과 이자, 세금, 공과금까지 다 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건물을 가지고 여러 임대를 하면야 사회적 책임으로 부담을 나눌 수 있지만 넉넉하지 못한 생계형도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착한 임대인' 운동에 동참하는 임대인은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벌써 2만5천여 임대인들이 참여했다.
다만 일부에서는 임대료 인하가 당연한 듯 요구하는 임차인들도 발생하고 있다. 임대료 인하 혜택을 받지 못한 임차인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호소하지만 여유가 없는 임대인으로서는 곤욕스러울 수밖에 없다.
사회적 운동은 그야말로 자발적 참여에서 빛을 발한다. 어렵게 형성된 '착한 임대인' 운동이 일부 잡음 때문에 그 뜻이 희석되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의 보조도 필요하다.
/황준성 경제부 차장 yayajo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