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32201001112400058231
김성호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
코로나19로 인한 휴업기간 학생이 사라진 학교에서 교사와 다른 직종 사이의 갈등이 또 반복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라는 국가적 과제가 강조되는 시기여서 이들 직종 간 갈등의 모습도 비대면 온라인 공간에서 목격되고 있다. 교사 직종과 '교육감소속근로자' 또는 '교육공무직'으로 불리는 직종 간의 갈등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갈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장소 가운데 한 곳은 바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이다. 이곳에선 수만 수천의 추천인 수를 기록하고 있는 엇비슷한 내용의 청원 글을 여러개 찾아볼 수 있다. 청원에 담긴 주장을 살펴보면 각자 자기 직종의 입장에서 상대 직종을 공격하거나 비하하는 내용이 많다.

이 같은 갈등은 최근 있었던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의 긴급 브리핑 유튜브 생중계 채팅창에서도 재현됐다. 채팅창에는 상대 직종을 깎아내리고 비하하는 혐오발언이 시종일관 오갔다. 자신의 어려운 처지를 설명하고 상대방에게 설득을 구하는 토론이 아니었다. '표현의 자유'를 벗어나는 비난과 혐오의 정서만 가득했다.

보고 있기가 몹시 불편했다. 채팅 접속자들 사이에서도 상대에 대한 비난을 자제하라는 말이 나왔다. 그래도 잦아들지 않았다. 키보드로 낯뜨거운 설전을 벌이는 이들이 실제 현장에 계신 해당 직종에서 일하는 이들인지 알 수 없었다. 물론 대부분의 학교 현장 종사자들은 묵묵히 자신의 일을 성실히 하고 있으리라고 확신하면서도 '혹시나~' 하는 걱정도 마음 한 켠에 남아있다.

툭하면 불거지는 학교 현장의 해묵은 갈등이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도 어김없이 재현됐다. 중요한 건 그들의 갈등 속에 '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배려는 찾아보기 힘들었다는 점이다. 학교에서 일하는 여러 직종의 근로계약서 상 사용자가 교육부장관인지 교육감인지는 중요한 게 아니다. 이들 직종의 사용자는 '학생'이다. 학생이 학교의 주인이기 때문이다.학생이 없으면 교사도 공무직도 학교도 존재할 이유가 없다.

/김성호 인천본사 사회부 차장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