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례대표 후보 공천 '신속 마무리'
혼란 가중 연동형 비례제 법 개정
4차 산업혁명·일자리 창출에 온힘
원유철(5선·평택갑) 의원이 미래통합당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 대표에 선출, 4·15 총선 사령탑이 됐다.
비례대표 후보 공천 논란이 야기된 '한선교의 난'을 수습하기 위해 당적을 옮겨, 비례대표 정당의 총수를 맡게 됐다. 중도·보수의 분열된 야권 통합을 위해 황교안 통합당 대표의 '밀사' 역할을 자임했지만 정작 본인은 21대 총선 불출마로 정가에서 잊히는 듯했다.
그러나 공천 파문으로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당을 수습하면서 그의 다음 정치 행보에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천 파동을 수습하기 위해 3일을 3개월 같이 보냈다는 그는 24일 경인일보와 인터뷰에서 "분열된 야권·보수통합으로 문재인 정권에 맞서 총선에서 승리하고, 전열을 가다듬어 2년 후 대선에서 꼭 정권을 되찾을 수 있는 토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원 의원은 "미래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은 형제 정당인데, 갈등을 해소해 국민들에게 좋은 후보를 추천해드리는 것이 저의 사명이라고 생각하고 후보 공천을 신속히 마무리했다"며 "국민들께서 마음에 들 만한 후보를 찾는데 노력했고, 민생과 경제, 외교와 안보 등 문재인 정권의 실정을 막아내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후보와 보수 야권 통합, 국민 통합을 이뤄낼 수 있는 후보를 공천했다"고 이번 공천 의미를 설명했다.
위성정당 출현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미래한국당은 출발 전부터 혼란을 가중시키는 연동형 비례제에 대해 온몸으로 저항했다.
왜 우리가 연동형 비례제라는 희한한 선거제도를 막아서려고 했는지 이제는 알 것이다. 여러 비례정당이 출현하는데 그 책임은 문재인 정권과 민주당에 있다. 총선에서 승리해 선거법을 개정하겠다"고 했다.
원 의원은 또 "민생경제를 살리기 위해 소득주도성장을 폐기하고, 최저임금 재조정 등 노동개혁을 추진할 것이며,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살리는 대책을 마련해 4차 산업혁명과 청년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 힘쓸 것"이라며 경제부문에 공약의 초점을 맞췄다.
마지막으로 그는 20석 이상의 의석 확보를 예고했다. 원 의원은 "민주당이 비례정당을 안 만들었으면 27석도 가능했을 것이지만 최소 20석을 목표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