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검토 중인 제3연륙교의 고속도로 전환이 확정되면 영종도와 인천·서울 도심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는 대신 개통 일정 변경은 불가피하다.
국토부와 인천시는 확정되지 않은 사업이라고 선을 그으며 총선 이슈로 번지는 걸 경계하고 있다.
현재 일반도로를 전제로 추진되고 있는 제3연륙교는 2025년 완공 목표로 왕복 6차선에 보행로와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는 구조로 설계되고 있다.
인천대교와 영종대교 민간 사업자의 손실금을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떠안고 청라·영종 주민은 무료로 통행하게 한다는 것이 인천시 방침이다.
국토부는 최근 인천시의 제안에 따라 제3연륙교를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할지 여부를 검토 중이다. 만약 연말 국토부 계획에 반영될 경우 사업 구조가 완전히 바뀌게 된다. 타당성 조사와 재설계 등으로 1년 정도의 시간이 추가될 전망이다.
일반도로와 고속도로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한 속도와 도로 시설물이다.
국토교통부의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을 보면 고속도로의 설계속도는 차로 폭과 지방·도시지역에 따라 최대 100~120㎞/h다. 반면 일반도로는 최대 80㎞/h이고 도로 중간 신호등과 교차로가 있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서울에서 경인고속도로를 타고 서인천IC로 빠져나와 일반도로 구간 8㎞를 거쳐야 제3연륙교에 진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인천시 구상대로 경인고속도로를 연장해 제3연륙교까지 고속도로화 하면 100㎞/h 속도로 서울~영종 논스톱 이동이 가능해진다. 도로 사정에 따라 이동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계산이다.
하지만 고속도로에 맞게 설계를 다시 하려면 개통 일정에 차질이 예상된다. 도로는 설계속도에 따라 중앙분리대와 도로 측면의 길어깨(갓길)의 설치 기준이 다르다.
도로 포장과 배수시설도 도로의 규모와 기능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도로 설계를 그대로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다.
인천 영종·청라 주민들은 제3연륙교 개통이 최대 관심사다. 제3연륙교의 고속도로화 건설 계획이 공론화장으로 나오면 '이동시간 단축(고속도로 전환)'이냐 '개통 일정 단축(일반도로 유지)'이냐를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