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중 전시의 경우 코로나19가 안정세에 접어들면 추후 일정 변경을 통해 재개관 전시를 하면 되지만 한번 취소된 공연은 사실상 부활(?)이 힘들다. 이에 예술계에서는 고객과의 약속과 그동안 힘들게 준비한 공연의 아쉬움을 담아 무관중 상태에서 온라인으로나마 관객들을 찾고 있다.
관객들의 입장에선 기다렸던 공연을 현장이 아닌 온라인으로나마 관람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감을 표출할 수 있다. 하지만 공연을 준비해 올리는 예술계의 입장에선 쓰린 속을 부여잡을 수밖에 없다.
무관중 온라인 생중계는 한마디로 돈이 안된다. 그러나 초기 비용은 현장 공연보다 높다. 음향과 영상 등 생중계를 위해 투입되는 각종 장비들이 많기 때문인데 현재 랜선을 타고 흐르는 공연 대부분이 공공기관에서 만든 작품이다. 민간 예술계의 경우 장비 대여비와 배우 및 스태프 인건비 등을 감당하지 못해 랜선 공연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민간 예술계에선 그 어느 때보다 힘든 시기를 극복하고자 허리띠를 바짝 졸라매며 자구책 마련에 안간힘이다. 랜선 공연이 수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에 대한 해법으로 고정 회원제 플랫폼과 광고 삽입 영상 제작, 교육 교재 활용 영상 제작 등을 고민하고 있다. 오죽하면 민간 예술계에선 향후 공연계의 수익 창출 방안을 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랜선 공연은 이제 시작인 만큼 관객의 입장에서 예술계의 변화를 지켜보는 것 또한 하나의 볼거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종찬 문화체육부 차장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