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대책회의보다 2200억 늘어나
항공사·민간사업자 재정부담 경감
개항이래 첫 1일여객 5천명선 붕괴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차입금 규모를 확대하기로 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코로나19 사태와 관련해 1조1천988억원의 차입금을 채권 발행 등을 통해 조달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이는 지난달 26일 제1차 비상경영대책회의에서 검토한 차입금 9천751억원 대비 2천200억원 가량 늘어난 규모다. 차입금은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 및 투자사업(7천622억원) ▲차입금 상환(4천200억원) ▲사용료 감면(1천810억원) 등에 쓴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 6일 구본환 사장 주재로 제2차 비상경영대책회의를 열고 인천공항 1단계 비상운영체제 이행 상황을 점검했다.

인천공항은 지난달 26일 1단계 비상운영체제에 돌입했다. 출국장, 유인 체크인 카운터, 주기장, 수하물 처리시설, 셔틀 트레인 등을 축소해 운영 중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인천공항은 물론 전 세계 공항이 직격탄을 맞았다. 파리 샤를드골 공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공항 등 해외 주요 공항들이 일부 터미널만 운영하는 등 공항 기능을 축소했다.

인천공항공사는 1단계 비상운영체제에 따른 여객 불편을 최소화하고, 관련 인력·자원을 노후시설 개선과 안전 점검 확대 등에 활용하기로 했다.

인천공항공사는 제2차 비상경영대책회의에서 공항산업 생태계 지원 방안도 점검했다. 이는 지난 1일 정부가 확정한 항공업계 지원 방안(4월2일자 11면 보도)을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한 것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정부 정책에 따라 항공사 정류료·착륙료, 공항상업시설과 민자사업자 임대료, 지상조업사 계류장 사용료, 급유시설 임대료 등을 일정 기간·비율 감면한다.

이번 조치로 인천공항 사용료 감면 규모는 기존 254억원에서 1천810억원으로 확대됐다. 또 항공사·상업시설 등에 대한 사용료 3천980억원 상당액이 3~6개월간 납부 유예된다.

구본환 사장은 "사상 최대인 1천810억원 규모의 전방위적 지원 대책을 선제적으로 이행해 공항산업 생태계가 현재의 위기를 조기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공항 여객 수는 지난 6일 4천581명을 기록하며 개항 이래 처음 5천명 아래로 떨어졌다. 인천공항공사는 '일일 여객 3천~7천명'을 2단계 비상운영체제 기준으로 설정해 놓은 상태.

구본환 사장은 "2단계 비상운영 돌입은 여객 추이, 공항 기능 축소에 따른 여객 파급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신중히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