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낙연-이해찬 상임선대위원장과 이인영 공동선대위원장 등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대한민국미래준비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국민에게 감사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과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이 21대 총선에서 180석을 쓸어담았다. 선거를 통해 국회 전체 의석의 5분의 3을 차지하는 '슈퍼 여당'이 탄생한 것은 1987년 민주화 운동을 통한 대통령 직선제 도입 이후 처음이다.
반면 미래통합당과 비례정당인 미래한국당은 합쳐 103석을 확보하는데 그쳐, 사실상 이번 총선에서 참패했다. 미래통합당은 겨우 '개헌저지선'인 100석을 넘긴데 만족해야 했다.
1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1대 총선 개표 결과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현재 전국 개표율이 100%를 기록하며 개표가 마무리 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에서 163석을 확보했다.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은 비례대표 선출을 위한 정당투표에서 33.35%를 득표, 의석수로 환산하면 17석의 의석을 차지하게 됐다. 민주당의 지역구 163석과 시민당의 비례의석 17석을 합하면 전체 의석수 300석의 5분의 3인 180석을 여당이 차지한 것이다.
미래통합당은 지역구에서 84석을 얻고, 미래한국당이 정당투표에서 19석(정당득표율 33.84%)을 획득해 이번 총선에서 총 103석을 확보했다.
지역구 투표에서는 민주당과 통합당이 거의 모든 선거구를 싹쓸이 하면서 나머지 정당에서는 정의당이 1석을 차지하는데 그쳤다. 나머지 5석은 무소속이 차지했다. 정의당 1석은 고양시갑에서 선전한 심상정 후보가 당선된 것이다.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가 지난 15일 국회도서관 강당에 마련된 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 개표상황실에서 총선 결과 관련, 당대표직 사퇴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 치러진 21대 총선에서 여당이 180석을 확보하며 '슈퍼 여당'으로 발돋움 함으로써, 향후 정국은 확실한 주도권을 쥔 여당에 이끌려 갈 전망이다.
국회 의석의 5분의 3을 확보하면 단독으로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 처리가 가능해 개정 국회법인 선진화법도 사실상 의미가 없어진다. 여당이 개헌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입법 활동을 주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민주당은 개표 결과를 받아든 16일 오전부터 코로나19 국난 극복을 위한 '경제 전면전'을 선언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에 나서고 있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일자리와 수출 회복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대처하기로 했다.
여당이 국회의 주도권을 확보함에 따라 집권 중반기에 접어든 문재인 정부의 '개혁 드라이브'도 탄력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우선 현 정부의 주요 입법과제인 검찰·사법개혁 등에서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보인다.
반면 21대 총선에서 '텃밭' 일부를 제외하고 참패한 통합당은 적지 않은 후폭풍 속에 '가시밭길'을 걷게 될 전망이다. 당장 황교안 대표가 사퇴를 선언하면서 비대위 구성 가능성이 거론되는 등 당이 소용돌이 속에 빠져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