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추경 통해 경영난 23곳 지원
택시업계에도 생활안정자금 지급
경기업체 SOS에도 재정투입 난색
선거철 '정치 노선'에도 불만 터져
道 "하반기 사업비 1천억 우선집행"
코로나19에 따른 승객 감소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경기지역버스업계(4월 16일자 7면 보도)에 대한 재정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경기도와 타 광역지자체의 지원 행보가 판이하게 갈리고 있다.
경기도가 추가 예산 편성을 통한 경영 타개 자금 지원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충청남도는 버스는 물론 택시업계에도 생활안정자금 명목으로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해 운수종사자들에게 지급하기로 했다.
충청남도는 지난달 충남도의회를 통과한 '2020년 제1회 추경 지방보조금 예산'에 따라 23개 버스업체에 11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운수업체가 이 보조금으로 운수종사자 1명당 100만원 꼴로 급여를 보전하는 방식이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급격한 승객 감소로 현금 유동성이 악화된 시내·농어촌버스, 시외버스 월급제 운수종사자들의 임금 삭감을 우려하며 특별재정 지원을 결정한 것이다.
지원 대상은 코로나19로 올해 3월 운송수입금이 지난해 3월보다 20% 이상 감소한 업체로 한정했다.
시내버스 18개 업체(차량 1천119대·기사 1천959명)는 도비와 시비 '5 : 5' 매칭으로 90억원, 시외버스 5개 업체(882대·1천70대)는 전액 도비로 20억원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법인택시, 개인택시 업계에도 생활안정자금을 1인당 100만원씩 총 70억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도내 버스업계는 더는 버틸 수 없다며 지자체에 SOS 신호를 보내고 있다.
공항버스리무진의 경우 1회차 운행에 2만원대 요금 매출을 기록하고 시내버스 업체들도 임금 미지급 사태가 불거지는 등 '벼랑 끝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준공영제 사각지대에 놓인 수원 지역 버스업체는 도산 위기를 직면한 상황이다. 김진후 수원시버스노동조합협의회 의장은 "회사가 있어야 버스 노동자도 있고 노조도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일갈했다.
선거철만 되면 후보들이 선심성 공약으로 내세우는 이른바 '정치노선'에 대한 불만도 터져 나왔다. 도내 한 버스업체 노무부장은 "수지타산도 맞지 않는 정치노선을 떠넘겨 놓고 손실금액은 모른 체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버스 업계만을 위한 재정지원은 어렵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추경을 통한 예산 집행을 검토하고 건의했으나 쉽지 않다"며 "버스업계 고충을 누그러뜨리고자 1천억원 규모의 하반기 집행 사업비까지 우선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손성배기자 son@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