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서 일반인투표소 이용 확인
뒤늦게 코로나검사 '소극적 대응'
장소·시간분리 현장서 안지켜져
다른 지자체 전원 검사와 대조적
총선 당일 인천지역 곳곳에서 코로나19 자가격리자와 일반 유권자가 뒤섞여 투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인천 계양구와 중구 등에 따르면 지난 15일 오후 5시30분께 계양구 계산동의 한 투표소에서 자가격리자인 20대 남성 A씨가 일반 투표소에서 투표했다.
정부는 자가격리자에 대해 일반인 투표가 마감되는 오후 6시 이후 외부에 마련된 임시 기표소에서 투표하도록 정했지만, A씨는 투표소에서 일반인과 같이 신분 확인 절차를 거쳐 선거 용지를 받아 투표한 것이다.
계양구는 A씨가 투표를 마치고 귀가하던 중 뒤늦게 이 사실을 파악하고 A씨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진행했다. 결과는 음성이었다.
A씨는 계양구 역학조사에서 "출구조사원을 담당 공무원으로 착각해 조사원에게 투표 방법을 묻고 투표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날 오후 5시42분께 중구 영종1동의 한 투표소에서도 자가격리 중이던 20대 여성 B씨가 임시 기표소가 아닌 일반투표소에서 투표했고, 5시52분께는 30대 남성 C씨가 운서동의 한 투표소에서 일반인과 함께 투표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구 역시 뒤늦게 사실을 파악했다.
B씨는 15일 진행된 검사에서 음성판정을 받았다. 중구는 C씨가 지난 13일 진행된 검사에서 음성판정을 받았다는 이유로 15일에는 추가 검사를 하지 않았다.
문제는 A씨 등 3명의 자가격리자가 투표과정에서 선거사무원 등 다수의 시민을 접촉했다는 점이다. 정부는 투표과정에서 자가격리자와 일반 유권자 간 접촉을 막기 위해 투표 장소와 시간대를 분리하는 대책을 내놓았지만, 현장에선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특히 계양구와 중구의 후속 조치는 타 자치단체에 비해 지나치게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선거 당일 자가격리자가 일반 투표소를 이용했던 서울 송파구의 경우, 격리자뿐 아니라 접촉자 전원에게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했다. 전파 우려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그런데 중구는 자가격리자의 접촉자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고, 계양구는 접촉자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자가격리자가 음성판정을 받아 전파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였다.
중구 관계자는 "자가격리자가 코로나19 음성판정을 받았고, 투표 당시 마스크 등을 착용한 상태였기 때문에 접촉자에 대한 검사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투표소 방역을 모두 마쳤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공승배·유창수기자 ksb@kyeongin.com
유권자·자가격리자 뒤섞여 투표 '긴장풀린 중구·계양'
입력 2020-04-16 22:03
수정 2020-04-16 22:03
지면 아이콘
지면
ⓘ
2020-04-17 8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