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생태계를 보호하고, 어민 소득을 증대한다는 취지로 경기도 등 지자체가 20년 넘게 종(치)패 방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효과가 미미해 반대하는 어민도 있다.
바지락 종패가 제대로 된 상품으로 성장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다.
어민들은 지역별 생태에 맞는 사업은 무엇인지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해야 망가진 갯벌을 살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21일 화성시 한 포구에서 만난 어민 A(60)씨는 "종패사업에 반대한다"며 "손님들이 바지락 칼국수와 같은 바지락 요리를 먹을 때 항상 하는 불만이 '으적거린다'는 것"이라며 "바지락 종패는 성장해서 채취해도 해감이 제대로 안 되기 때문"이라고 했다.
경기도 내 종패 방류 사업은 경기만 갯벌이 망가진 이후인 1995년 무렵부터 시작됐다. 대규모 간척사업과 기후변화 등으로 갯벌이 망가져 과거의 풍부한 수산자원이 나오지 않으면서 어민들의 소득도 급감했기 때문이다. 이에 소득 증대와 생태계 유지를 위해 해당 사업이 계속됐다.
실제 종패 방류 사업은 어민 소득 증대에 효과가 있다. 망가진 갯벌 생태계에 한 푼이 아쉬운 어민들 입장에서도 10%만 부담하면 배 이상 수익이 나는 정부의 지원사업은 반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투자한 값에 비해 성과는 적다는 게 현장 어민들의 증언이다.
화성지역 한 어촌계 어민 B(64)씨는 "정부에서 10억원 가량 종패를 방류하면 적어도 12억 정도 효과가 나와야 성공적인데, 5억원 정도 결과만 나와도 다행인 실정"이라며 "폐사도 많은 걸 보고 있지만, 그나마도 아쉬워 계속하고 있다"고 했다.
게다가 경기만 갯벌 현장에 맞지 않는 중국산 종패를 방류한다는 소문도 어민들 사이에 돈다. 국산 종패들은 그나마 자연에 적응해 살아남는데, 중국산은 폐사율이 높다는 것이다.
실제 우리나라에 수입되는 종패도 상당하다.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의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2017~2019년)간 중국에서 수입된 종패류는 521건, 1천555t으로 나타났다. 이 중 중국산 바지락 종패는 399건, 1천437t에 달한다.
어민들은 갯벌 생태계 복원을 위한 중·장기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A씨는 "경기만을 둘러싼 환경오염이나, 물길 상황과 같은 근원적 문제를 해결해야 갯벌이 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혜정 화성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도 "어업을 하지 않는 지역주민을 위한 관광 사업과 갯벌 보존이 함께 진행돼야 효과가 있다. 해당 어촌 특색에 맞는 사업을 개발하고 연구해야 한다"고 했다.
/김동필·신현정기자 phiil@kyeongin.com